자구노력 전제…”냉철한 심판·조력자 역할”

금융위원회가 글로벌 공급 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산업의 구조개편을 돕기 위해 채권금융사 공동협약을 추진, 기존 여신을 유지하도록 하는 등 전면 지원에 나선다. 다만 석유화학업계의 자구노력이 전제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금융위원회는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5대 시중은행과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이 참석한 가운데 ‘석유화학 사업재편 간담회’를 개최했다.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도 이 자리에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20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와 ‘석유화학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 체결을 계기로 금융지원에 대한 원칙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석유화학업계의 자구노력이 지원의 전제라며 작심발언을 이어갔다.
특히 석유화학계 일각에서 정부의 ‘선(先) 자구노력 후(後) 지원’ 방침에 대해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과 관련, “물에 빠지려는 사람을 구해주려 하는데 보따리부터 먼저 내놓으라는 격”이라며 일침을 놨다.
권 부위원장은 “어제 산업부 방안이 발표됐고, 1년간 지지부진했던 논의를 어제 매듭지었다”며 “그런데 석유화학 업계에서 상당히 볼멘소리가 들리더라”고 말했다. 정부 발표 후 업계에서 “구체적 인센티브 거론 없이 감축부터 주문하는 게 현실에 맞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 것에 대한 질타다.
권 부위원장은 “안이한 인식에 대해 정부로서는 유감을 표한다”며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선 자구 노력과 채권단의 협조가 유기적으로 질서정연하게 진행돼야 이 문제를 유능하고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특히 “금융권이 석유화학 기업의 자구노력을 엄중히 평가하고, 타당한 계획이 나올 수 있도록 냉철한 관찰자·심판자와 조력자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사업재편의 기본 원칙은 ▲철저한 자구노력 ▲고통분담 ▲신속한 실행이라며, 석유화학기업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구체적이고 타당한 사업재편계획을 촉구했다.
아울러 금융권에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될 때까지 기존여신 회수 등 비올 때 우산을 뺏는 행동은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사업재편과정에서 수반되는 지역경제,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금융권의 배려를 요청했다.
금융권은 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한 금융권 공동 협약을 신속하게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