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 “민주, 야당을 대화 상대로 인정 안 해…포용 정신 되새겨야”

여야 지도부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은 18일 한목소리로 ‘DJ 정신 계승’을 다짐하면서도 각자 다른 측면을 강조한 추도사를 내놨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김 전 대통령이 “불의와 타협하지 않았다”며 내란 세력 척결을 강조한 반면,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통합의 리더십을 언급하며 “여당이 야당을 말살 대상으로 규정한다”고 비판했다.
추모식은 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진행됐다. 행사에는 정 대표와 송 위원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정 대표는 “대통령께서 우리 곁을 떠나신 지 벌써 16년, 그러나 고난 속에 피어난 인동초와 같이 당신의 정신은 여전히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다”며 “당신은 떠나셨지만 당신의 정신은 앞으로도 계속 이 땅의 민주주의를 키워낼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저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고민할 때마다 대통령이 떠오른다”며 “죽음의 문턱을 넘어서도 끝내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김대중, 오로지 국민을 믿고 국민을 위한 길을 열어간 김대중, 국민의 권리와 (국가) 성장 동력으로 바꿔낸 복지 정책, 한반도 평화까지 제가 가고자 하는 모든 길에서 당신을 발견하고 만난다”고 했다.
그는 “오늘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 세력 척결과 같은 말이라고 말하셨을 것”이라며 “당신을 기억하는 국민을 위해, 어디선가 또 당신을 재발견하게 될 국민을 위해 모든 것을 제자리에 돌려놓겠다”고 했다.
반면 송 비대위원장은 “김대중 대통령은 화합과 통합의 정치 그리고 국민과 국익을 위한 헌신의 정치를 해오셨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깊이 존경의 뜻을 전한다”고 했다.
그는 “통합의 중심에 서야 할 정치가 오히려 국민의 편을 가르고 정치보복과 진영 갈등을 반복해서는 결코 대한민국이 전진할 수 없다”며 “특히 집권 여당이 야당을 대화의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 야당의 당사를 침입해 500만 당원 명부를 탈취하는 현실 앞에서 김 대통령의 포용과 관용의 정치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고 했다.
그는 “보수와 진보, 여야를 넘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야말로 지금 우리 정치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책무”라며 “김 대통령께서 남기신 숭고한 진심을 깊이 새기면서 국익과 민생을 최우선에 두고 통합의 미래로 나아가는 정치를 해야겠다”고 했다.
추모위원장을 맡은 우원식 국회의장은 “역경 속에서도 국민을 믿고 역사의 발전을 낙관했던 대통령의 강인한 정신을 이어가겠다”며 “남북관계와 한·일 관계의 새 지평을 열었던 대통령의 지혜와 용기·인내를 기억하며 따르겠다”고 했다.
그는 “한·일 수교 60주년인 올해 한·일 관계의 틀을 재정립할 기회”라며 “김대중·오부치 선언은 한·일 관계를 갈등과 대립에서 미래 지향적인 파트너십으로 전환시켰다.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이 더욱 중요해진 지금 용기 있는 결단과 원칙 있는 협력을 보여준 그 정신을 되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번영을 위해 일본 정치인들의 전향적인 자세를 요청한다”고 했다. 또 “남북관계도 쉽지 않다”며 “당장 북한이 호응하지 않더라도 신뢰 구축을 위한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된다. 햇볕 정책에 안팎의 난관과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분단 55년의 벽을 넘어섰듯이 대화와 협력의 일관성이 한반도의 미래를 열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