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0 16:40 (일)
장관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공방 지속…與 “협조해야” 野 “무자격자 사퇴해야”
상태바
장관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공방 지속…與 “협조해야” 野 “무자격자 사퇴해야”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7.20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오영준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의 빈자리가 눈에 띄고 있다. /뉴시스
▲ 오영준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의원들의 빈자리가 눈에 띄고 있다. /뉴시스

여야의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국민의힘은 일부 장관 후보자들의 사퇴 또는 지명철회를 촉구하고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단독 표결로 소관 상임위 처리를 밀어붙일 태세다.

20일 국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인사청문 절차를 마친 16명의 장관 후보자 중 청문경과 보고서가 합의로 채택된 후보는 총 4명이다. 국민의힘은 당초 일부 인사의 낙마를 요구하며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 청문보고서 채택을 일괄 보이콧 했지만, 대미 관세 협상과 관련한 국익 차원에서 경제·외교·통상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에 협조하기로 결정했다. 또 폭우 피해 상황을 감안해 행안부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도 채택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구윤철 부총리 및 기재부 장관 후보자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자부 장관 후보자, 윤호중 행안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8일 청문경과 보고서가 합의로 채택됐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민의힘의 원내 청문 전략이 확정되기 전인 지난 15일 청문보고서가 합의로 채택돼 같은날 임명안이 재가됐다.

다만 나머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서는 자료 부실 제출 문제와 증인·참고인 미채택, 도덕성 논란 등을 지적하며 청문보고서 채택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다. 특히 강선우 여성가족부·권오을 국가보훈부·김영훈 고용노동부·이진숙 교육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등에 대해서는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 18일 여야 원내대표 간 회동에서도 청문보고서 채택과 관련한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보은에 대한 미련 때문에 좌고우면하지 말고 부적격 후보자들에 대한 지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했다.

반면 민주당은 야당의 낙마 공세를 ‘국정 발목잡기’로 규정하고 ‘전원 통과’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의힘의 반발이 집중된 강선우·이진숙 후보자에 대해서도 “결격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여성가족위원회·교육위원회도 지난 18일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에 국민의힘이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민주당은 주말 사이 여론을 지켜본 뒤 이재명 대통령이 청문보고서를 재송부하는 이번 주께 각 상임위별 단독 표결 처리에도 나설 전망이다. 실제 민주당 교육위원회는 21일 또는 22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열어 청문경과보고서를 단독으로라도 채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진숙 후보자의 논문 표절 등에 대한 의혹이 청문회를 통해 일정 부분 해소됐다고 보고 청문보고서 채택 시한 전 결론을 내겠다는 것이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강·이 후보자) 두 분에 대해 (국민의힘과) 저희 의견이 다르다. 한 분(강 후보자)은 상임위에서 인사 청문 보고서를 채택해 달라고 하고, 한 분(이 후보자)은 결격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민주당은 상임위 의견을 존중한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