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4:09 (일)
93세 초고령 '승모판막치환술' 성공…"여러과 협진 결실"
상태바
93세 초고령 '승모판막치환술' 성공…"여러과 협진 결실"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5.02.19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승모판막치환술·좌심방이 폐색술 시행
▲ 김강민 중앙대광명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와 ‘승모판막 치환술(MVR)’과 ‘좌심방이 폐색술(LAAIO)’을 받은 90대 환자. (사진= 중앙대광명병원 제공) /뉴시스
▲ 김강민 중앙대광명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와 ‘승모판막 치환술(MVR)’과 ‘좌심방이 폐색술(LAAIO)’을 받은 90대 환자. (사진= 중앙대광명병원 제공) /뉴시스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은 최근 90대 초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승모판막 치환술(MVR)’과 ‘좌심방이 폐색술(LAAIO)’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A씨(93)는 지난해 12월 숨이 찬 증상과 가슴 정중앙부터 복부까지 체한 듯한 불편감을 느꼈다. 며칠 뒤 발등을 비롯한 신체가 붓는 등 증상이 악화돼 가까운 병원을 방문했고 폐부종을 동반한 심부전 소견을 받았다. 의료진으로부터 더 큰 병원에 가볼 것을 권유받고 중앙대광명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검사 결과 A씨는 좌·우 양측의 심방 비대 및 심각한 수준의 승모판 역류가 있었고, 약물적 치료와 함께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는 상태였다. 집도의인 김강민 중앙대광명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는 “응급실을 통해 병원에 오셨는데, 검사 결과를 보니 당장 수술을 시행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였다”며 “초고령이셔서 치료에 대한 염려도 있었다”고 말했다.

고령환자는 수술을 결정하는 게 쉽지 않다. 면역력 저하와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수술 후 회복이 늦어질 뿐 아니라 합병증과 부작용 위험도 높기 때문이다. 또 수술이 잘 되더라도 체력 저하, 영양섭취 등을 고려해 꾸준한 재활이 필요하다. 고령환자일수록 수술 전후 면밀한 관리가 시행돼야 한다.

A씨는 수술 위험 예측 점수(STS score operative mortality)는 5.65%, 합병증 발생 및 사망 위험률(Morbidity and Mortality Rate)은 13.2%에 이를 정도의 수술 고위험군이었던 만큼 다양한 진료과 의료진이 참여하는 다학제 진료가 이뤄졌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순환기내과, 마취통증의학과,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신경과 소화기내과, 감염내과 등 다양한 진료과 의료진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승모판막 치환술(MVR)을 시행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또 고령임을 감안해 수술 이후 부정맥, 뇌졸중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좌심방이 폐색술(LAAIO)’을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

승모판막 치환술은 승모판막이 손상돼 혈류가 역류하거나 협착이 생기는 경우 수술로 판막을 교체하는 치료법이다. A씨의 경우, 판막을 27mm크기의 생체 인공판막으로 교체했다.

일반적으로 5시간 이상 소요되는 고난이도 수술이었지만, 김 교수는 4시간만에 수술을 마쳤다. 수술 시간을 줄여 환자의 체력적 소모를 최소화했다. 수술 이후 A씨는 중환자실에서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받으며 건강을 회복했다. A씨는 일반병실로 옮겨진 후 심장재활 치료 프로그램과 영양교육을 통해 빠르게 회복해 퇴원했다.

A씨의 보호자는 “연세가 많다보니 가슴을 열어야 하는 수술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며 “김 교수님을 비롯한 의료진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에 수술을 결정했고, 결과적으로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 감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환자의 나이와 건강상태를 고려했을 때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수술이었지만, 의료진의 협력을 통해 무사히 수술을 마칠 수 있었다”며 “큰 수술을 잘 견뎌준 환자에게 감사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이어가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