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혁신당이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시 한번 충돌했다. 이준석 의원의 당원소환제에 허은아 대표는 “절차적으로 문제있다”며 끝까지 싸울 것을 시사했다. 반면 이기인 수석최고위원이 “당원들이 끌어내리기 전에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혁신당은 지난해 12월 16일 허 대표가 이준석 의원의 측근인 김철근 전 사무총장을 경질한 이후 내부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3일 열린 최고위에서도 강도 높은 비판이 오갔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식적으로 지도부의 총사퇴 요구가 있었다. 이기인 수석 최고위원은 “정식으로 지도부의 총사퇴와 새로운 특임기구 설치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 곧 당원소환제가 시작된다. 당권에 집착한 폭군의 말로가 어떠한지 역사는 알고 있다”며 “당원들의 손으로 끌어내리기 이전에 지도부가 총사퇴 하는 결자해지 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조대원 최고위원은 “어제 이준석 의원이 모 방송에 나와서 인터뷰를 하는 것을 봤다. 이 의원이 ‘헌법재판소 절차가 정치적 재판이라고 이야기하는데, 비슷한 게 당원소환제’라고 말했다”며 “스스로 허 대표를 끌어내리려고 하는 것이 당헌·당규, 법령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치재판을 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라고 말했다.
허 대표도 회의 후 당원소환제 절차에 문제가 있다 입장을 보였다. 그는 ‘당원소환제 요건이 안된다고 보는가’의 질문에 “그렇다. 승인 같은 여러 절차에서의 문제점이 있다”고 답변했다.
허 대표가 경질했던 김철근 사무총장은 이날 최고위에 자리했다. 개혁신당 기획조정국이 당헌·당규 유권해석을 통해 적법한 의결을 거치지 않은 당직자 임명은 효력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허 대표 측은 김 전 사무총장은 자진 사퇴했기 때문에 대표의 재임명 외에는 직에 복귀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맞섰다.
허 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당대표의 주요 당직자 임명권은 유효하며 지난해 12월 19일 최고위원회에서 거론된 당헌·당규 개정안은 처음부터 효력이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헌·당규는 당대표의 임명권을 보장하고 있다. 개혁신당은 원칙과 명분을 잃지 않고,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정당이 돼야 한다. 저는 부러질지언정 결코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천하람 원내대표는 “사무처, 당헌·당규에 대한 해석 권한이 있는 기획조정국의 유권해석은 존중하면서 당을 운영해 갔으면 좋겠다”며 “유권해석 권한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결국 당의 운영이 매우 무질서 해질 수 밖에 없고, 원칙과 절차가 제대로 준수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당헌·당규 해석에 대해서 의문이 있거나 의견이 다른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당 사무처에 유권해석을 의뢰하고 거기에 바탕해 일들을 진행하는 것이 절차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일”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