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배우자를 둔 가구 중 맞벌이 가구가 처음 600만 가구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맞벌이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연령은 50대로 10명 중 6명이 부부가 함께 경제활동을 했다.
1인 가구도 전년보다 16만 가구 넘게 늘었는데, 그 가운데 취업한 가구 중 23%가 60세 이상이었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전년보다 2.1%포인트 늘어난 48.2%로 집계됐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2020년 45.0%, 2021년 45.9%, 2022년 46.1%, 지난해 48.2%로 매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가구 수로 보면 유배우 가구 1268만7000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611만5000가구로 전년보다 26만8000가구 늘었다. 이는 역대 최대로 맞벌이 가구가 600만 가구를 넘은 건 통계를 집계한 2015년 이래 처음이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 연령에서 전년보다 상승했는데, 특히 30대(58.9%)에서 가장 높았고 그다음 50대(58.0%)가 뒤를 이었다. 50대가 돼서도 10명 중 6명은 맞벌이를 한다는 뜻이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56.8%였다.
막내 자녀의 연령이 낮든 높든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전년 대비 모두 늘었다. 다만 막내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맞벌이 가구 비중도 높았다.
막내자녀가 6세 이하인 맞벌이 가구 비중은 51.5%로 전년 대비 3.9%p 증가했고, 7~12세는 58.6%로 3.0%p 상승했다. 13~17세는 62.6%로 3.1%p 올랐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1시간으로 전년 대비 2.1시간 증가했다.
자녀 수별로 보면 자녀 수가 적을수록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았다. 자녀 수가 1명인 맞벌이 가구는 57.2%,2명은 57.0%, 3명 이상은 53.1%였다.
동거 맞벌이 가구 중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35.2%로 전년대비 0.4%p 하락했다. 산업별로 보면, 농업·임업 및 어업(77.6%), 숙박 및 음식점업(67.4%) 순으로 높았다.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37.4%로 전년보다 0.2%p 낮아졌다. 직업별로 보면, 농림·어업숙련종사자(76.9%),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50.9%) 순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