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제104주년 3·1절을 맞이해 독립유공자 104명에게 포상을 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5명(애국장 6명, 애족장 9명), 건국포장 4명, 대통령표창 85명이다.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33명이다.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104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후손에게 수여될 예정이다.
먼저 이북 3도를 오가며 종횡무진 활약한 의병장 김학홍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다. 김학홍 선생은 1907~1913년 평남·함남·황해도 등 이북 3도에서 김관수 의진 부장 및 의병장으로 일본군과 일진회원을 공격했다가 체포됐다.
민족대표 33인을 본떠 비밀결사 단체인 위친계를 결성한 안응섭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안 선생은 1919년 4월 전남 순천에서 3·1독립선언서의 민족대표 33인을 본떠 비밀결사 위친계를 결성했다가 체포됐으며 징역 1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는 등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이와 함께 함경도 일대에서 대한신민단 의연대원으로 단원 및 군자금을 모집한 김언배 선생(건국훈장 애국장), 미국 하와이에서 대한부인구제회 부회장으로 활동한 승정한 선생(대통령표창), 전주사범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우리회를 결성한 김학길 선생(대통령표창) 등도 독립유공자 포상이 전수된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포상된 1949년부터 이번 3·1절까지 1만7748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됐다. 이 중 건국훈장은 1만1680명, 건국포장 1511명, 대통령표창 4557명이며, 여성은 640명에 이른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제104주년 3·1절을 맞아 조국독립을 위해 희생·헌신한 분들께 독립유공자 포상을 할 수 있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일제강점이라는 엄혹한 상황 속에서도 오직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일신을 바치셨던 선열들의 고귀한 생애와 정신이 우리의 후손들에게도 온전히 계승될 수 있도록 선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