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가 서울 자치구 가운데 범죄 발생빈도가 낮은 안전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지난 23일 서울대 교수진들이 발표한 ‘서울범죄지도’에 따른 것으로, 서울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범죄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노원구가 지수 ‘0’으로 1위였고, 이어 강서, 도봉, 은평이 2위를 차지했다.
서울대학교 김경민 환경대학원 교수와 이혜인 행정대학원 연구원은 지난 2005년부터 2011년에 발생한 5대 강력범죄(폭행, 살인, 강도, 절도, 성범죄) 79만2,260건을 분석한 결과로 작성한 ‘서울범죄지도’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범죄 핫스폿(접속이 집중되는 곳) 지수’를 이용해 이 같은 결과를 돌출해 냈다고 밝혔다. ‘핫스폿’은 지역 내 1㎢당 5대 범죄의 발생 빈도를 분석한 지수이다. 1년에 평균 폭행 105건, 살인 0.3건, 강도 1.6건, 절도 69.7건, 성범죄 0.6건 이상이 발생하면 핫스폿으로 분류돼 1점을 받게 된다. 7년간 5대 범죄 데이터를 분석한 핫스폿 지수 만점은 35점이다. 따라서 높을수록 위험한 지역임을 뜻하게 된다.
강서구는 이 같은 결과가 그동안 구에서 추진한 CCTV확대 설치와 신축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방범시설 설치 의무화 등의 범죄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로 보고 있다.
구는 2010년부터 CCTV 설치를 대폭 늘렸다. 2008년에 3대 등 평균 10여 대에 불과하던 CCTV 설치율을 2010년부터 85대, 2011년 72개, 2012년 127대, 금년엔 108대 등 최근 4년 동안 400대에 달하는 CCTV를 학교주변, 공원, 우범지대 등에 설치했다.
뿐만 아니라, 주택창문과 도시가스관 등 설비시설을 통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2011년부터 건축허가 시 방범시설(방범창, 가스배관 매립형 또는 덮게형, 주출입구 통제장치 등) 설치를 의무화하여 안전한 주거환경을 확보하고 있다.
구는 2001년에 153건, 2012년 284건, 2013년 163건의 건축허가에 대해 이 같은 방범시설 설치를 강제함으로써,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 고시원 등에서 빈번하던 도시형 강절도 사건을 사전에 예방했다.
구는 범죄 예방에 CCTV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하고 이의 지속적인 확대설치는 물론, 각 부서에서 분산하여 운영 중인 상황실을 통합하여 관제하도록 ‘스마트 도시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내년 7월 착공하여 연내 완공할 예정이다.
구는 이 센터가 운영되면, 모든 CCTV가 통합하여 관리되게 됨으로써 주민 안정망 시스템이 더욱 공고히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간에 상호 연계로 비용절감은 물론 방범효과 또한 극대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