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진단, 학교·가정에 방역 책임 지우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개학을 2주 가량 앞둔 학부모와 교사들 사이에선 정부의 등교 지침을 두고 불만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새학기 정상등교 방침이 나왔지만 아직 전달받은 구체적 세부지침이 없고 각 가정에선 자가진단을 실시해야 할 수도 있어 정부가 학교와 가정에 방역 책임을 지운다는 취지다.
16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는 9만443명이다. 종전 최다였던 전날(5만7177명)보다 3만3266명 증가했다.
교육부는 새 학기 전면등교 방침을 내세우면서 전국 유·초·중·고 학생이 주 2회 신속항원검사(RAT) 자가검사키트를 통해 음성 확인을 받은 뒤 다음날 등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이다. 시·도 단위의 전면 원격수업 전환 상황도 대비 중이다.
이 같은 교육부의 방침에 학부모들은 등교를 위한 검사 실시가 부담스럽다고 입을 모았다. 검사가 선택사항이긴 하지만 코로나 확산세가 매서운 상황에서 학생들이 전면 등교를 해야 하면 집단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각 가정에서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다.
두 초등생 아이를 둔 김모(36)씨는 “아이가 면봉을 보기만 해도 소스라치게 놀라는데 주 2회씩이나 자가키트 검사를 시켜야 한다니 부담스럽다”며 “무작정 개학을 하는 것보단 위험 부담이 적다고 해도 가정이 방역 책임까지 져야 하는 것 같다”라고 전했다.
인천 남동구에 거주하는 한 어머니 정모씨도 초등생 자녀 둘을 학교에 보내기 고민스럽다고 한다. 그는 “코로나19 총 확진자 수는 10만에 가까워지는데 중증 피해가 없다고 해도 일부는 증상이 위험하다고 경고한다”라며 “아이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교사들도 다가오는 개학에 부담을 느끼는 건 마찬가지다. 어린 아이들이 검사 받길 무서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의료진이 아닌 부모님이 해주는 검사를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초등교사도 있었다.
서울 초등학교 교사인 최모(28)씨는 “아이가 코로나에 걸리면 학교를 못 가니까 검사를 안 하거나 검사를 꺼려해서 제대로 하지 않는 가정도 있을 것”이라며 “그럼 그 이후는 누가 책임져야 하는 건지, 교사가 책임져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자신을 고등학교 교사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확진자 수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원격 수업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 있었지만 고등학교는 이동수업 중심이어서 학급별 원격수업이 어렵다”라며 “지금쯤 확실한 지침이 내려와야 대비를 할 텐데 전달 받은 건 없다”고 한탄했다.
다만, 아직 원격 수업이 익숙치 않고 학생들도 대면 수업을 선호한다면서 정상 등교가 반갑다고 밝힌 교사도 있었다.
중등교사 김모(31)씨는 “지난 2년간 원격 수업을 준비하는 것도 쉽지 않았고 아이들도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라며 “학급 내에서 아이들이 방역 지침을 제대로 지키면 전면 등교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한편,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열린 ‘오미크론 대응 학교 방역 추가 지원’에서 “정상등교와 학교의 일상회복을 더 이상 늦추거나 미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그는 “전문가들은 소아·청소년 환자가 많이 늘어나지만 주로 경증이나 무증상 확진자 등이 많다(고 설명한다)”며 “중증으로 가는 비율도 국내·외 사례를 봤을 때 높지 않다 진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