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0 16:40 (일)
은평뉴타운 특별 분양 '절반의 성공'
상태바
은평뉴타운 특별 분양 '절반의 성공'
  • 김지훈 기자
  • 승인 2013.01.12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평뉴타운 중·대형 가구의 장기 미분양 사태는 결국 '돈' 때문이었다. 서울시가 각종 혜택을 제시하자 먼지만 쌓여가던 빈집에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12일 서울시 SH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20일부터 은평뉴타운 미분양가구 615세대에 대한 선착순 분양을 진행한 결과 지난 10일까지 총 515건의 계약이 완료됐다.

이는 전체 미분양 가구의 84%에 달하는 것으로 은평뉴타운 중·대형 평수의 장기 미분양 사태로 골머리를 앓았던 시와 SH공사가 우선 급한 불은 끈 모양새다.

은평뉴타운에 현장시장실까지 운영해가며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보였던 박원순 서울시장은 며칠 전 자신의 트위터에 "현장시장실 설치 등 집중의 힘, 빨리 계약하세요"라며 성과에 반색하기도 했다.

준공 후 2년 동안 미분양 상태로 남아있던 물량을 선착순 분양을 시작한 지 50여일 만에 80% 이상 처리한 데는 박 시장의 특별 정책이 주효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박 시장은 지난해 11월 초 은평뉴타운 내 '현장 시장실'을 운영하면서 조건부 전세와 일시납 할인, 일시납 잔금 유예, 할부납 등의 혜택을 제시했다. 일시납 계약자에게는 최대 1억6129만원의 특별선납할인과 평면개선비용 지원 등 최대 2억2000여만원의 할인 혜택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었다.

여기에다 현장시장실 운영 첫날 중·대형 평수가 서울시민의 생활방식과 달라 분양률이 낮다는 점을 지적하며 '부모합가형'과 '부분임대형' 등 맞춤형 분양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단기적으로는 버스 노선을 조정해 이용 장기적으로 신분당선과 6호선을 연장해 은평을 관통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매매 계약 실적은 저조했다. 총 515건의 계약 중 482건이 분양조건부전세였다. 시가 분양조건부전세를 주변 전세시세의 80% 수준으로 공급하고 계약금 10%, 잔금 90% 납부를 조건으로 걸면서 계약에 대한 부담이 없어진 탓이다. 또 2~4년 뒤 분양을 받지 않아도 위약금을 면제해줘 언제든지 떠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공사 관계자는 "주변 시세의 80% 수준의 전세가격으로 최대 4년까지 전세금 인상에 대한 걱정 없이 지낼 수 있는 데다가, 살아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위약금 없이 나갈 수 있어 인기가 높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이 말을 되짚어 보면 분양조건부전세로 입주한 522세대가 은평뉴타운을 빠져나가더라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위해 모든 위험 부담을 시가 떠안은 셈이다. 실제 555건까지 계약이 체결됐으나 개인적인 이유로 분양조건부전세로 계약한 40가구가 입주를 포기했다.

중·대형 평수를 맞춤형으로 분양해 빠른 시간에 채무를 갚겠다던 박 시장의 계획도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이날까지 계약된 515가구 중 박 시장이 발표했던 '부모합가형'과 '대학생임대형' 등의 맞춤형 분양은 단 한 건도 없었다.

이 공사 관계자는 "맞춤형 분양에 대해 논의는 됐지만 하나의 의견일 뿐이었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공사 관계자는 "우선 미분양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상권이 형성되고 교통망이 확충되는 등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전세 계약자의 이탈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주택 경기가 좋아지면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