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0 16:40 (일)
성북구, ‘가설울타리 디자인가이드라인’ 운영
상태바
성북구, ‘가설울타리 디자인가이드라인’ 운영
  • 안희섭기자
  • 승인 2012.11.28 12: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규모 공사장, 울타리로 세련미 발산


성북구가 마땅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도시경관을 해치는 주범으로 지목받아온 소규모 공사장의 가설 울타리에 세련된 도시이미지를 제공하고, 구의 정체성을 담을 수 있도록 ‘성북구 가설울타리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운영한다.
그동안 서울시가 정한 ‘공사장 임시시설물 디자인가이드라인’이 적용되어 왔으나 이는 폭 20미터 이상 대로변의 큰 공사장만을 대상으로 했었다. 때문에 다양한 규모의 공사장 가설울타리에 적용할 수 있고 성북구만의 정체성을 갖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에 구는 세련되면서 조화로운, 성북구만의 정서와 채취를 느낄 수 있는 ‘성북구 가설울타리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성북구 가설울타리 디자인가이드라인’은 ‘서울시 공사장 임시시설물 디자인가이드라인’과 동일한 디자인 매뉴얼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면서, 6가지 성북색을 바탕으로 성북구의 상징요소와 성북 22경 등 성북만의 특색이 디자인된 CI(City identity), BI(Brand identity), BS(Brand slogan) 등을 적용하여 공사장 규모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안을 수립했다.
가이드라인의 적용 대상은 ▲도로변 10m이상 도로변에 접한 공사장 ▲연면적 2,000㎡이상으로 8m이상 도로변에 접한 공사장 ▲공공기관이 특정 목적으로 설치한 가설울타리 등이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가이드라인 및 성북구 건축심의위원회 대상보다 다소 확대되었다.
구 관계자에 따르면 “가설울타리는 비교적 단기간 설치되는 것이지만 도시 특성상 항상 여기저기 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도시경관에 반영구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관요소로서 예술적인 가설울타리는 공사로 인한 불편을 크게 덜어 줄 뿐 아니라 걸으면서 행복해지는 거리 조성에도 한몫을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구는 보행친화도시 조성을 특화전략과제로 정하고 다양한 정책을 펼쳐 왔으며 이런 노력의 결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12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과 국제연맹 해비타트 후쿠오카 본부, 아시아 해비타트 협회, 후코오카 아시아 도시 연구소 등이 주관하는 ‘2012 아시아 도시경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