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김병화 대법관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 및 8월 임시국회 개회 가능성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대법관 임명안 처리를 위해 강창희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이라도 강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김병화 후보자에 대해 '재추천을 결의해야 한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새누리당 홍일표 대변인은 25일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대법관 임명안은 내달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처리해도 늦다"며 "그 안에라도 가능하면 본회의를 열어서 처리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강 의장의 직권상정 가능성을 열어 두었는가'라는 질의에는 "그렇다"라고 답한 뒤, "임명 동의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가 국회의원들이기 때문에 인사청문회의 보고서를 제출해 놓고 의원들이 판단해 결정토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해 "새누리당은 직권상정을 해서라도 가자고 한다"며 "지금까지 인사 청문과 관련해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채 국회에서 강행처리가 되는 일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8월 국회 개회 가능성을 두고도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자칫 박지원 원내대표의 검찰 소환을 막기 위한 방탄국회라는 빌미를 줄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반면, 민주당은 "정치검찰의 장단에 놀아날 생각이 없다"며 검찰을 규탄했다.
홍 대변인은 "7월 국회가 아직도 열흘이나 남아있는 상태에서 미리부터 8월 국회를 자꾸 거론하는 것은 자칫 방탄국회의 빌미를 줄 수가 있다"며 "일단 8월 국회는 아직 생각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못박았다.
박 대변인은 '임시국회를 8월에 열자는 주장이 있는데, 그 사이 박지원 원내대표는 검찰 소환에 응하는 것이 낫지 않냐'는 질의에 "검찰지도부가 민주당을 향해 일정한 의도를 갖고 있다"며 "지도부의 방침은 정치검찰의 장단에 놀아나선 안 된다는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전날 이뤄진 이명박 대통령의 친·인척 측근 비리와 관련한 대국민 사과에 대해서도 여야는 온도차를 나타냈다.
홍 대변인은 "사과의 메시지는 단호하고 분명하게 표시가 돼 평가를 해야 한다"며 "앞으로 남은 임기만이라도 공직기강을 확립해 국정을 잘 마무리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박 대변인은 "사건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대선자금에 대한 자기고백, 민간인 불법사찰에 대한 책임인정 등은 전혀 없었다"며 "언론 앞에서는 고개를 숙였지만 진실 앞에서는 고개를 숙이지 않은 그런 사과였다"고 혹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