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검찰 소환 불응 압박 위한 '명분쌓기'라는 분석도
새누리당이 믿는 도끼에 발등을 찍혔다.
새누리당 의원이었던 강창희 국회의장이 20일 민주당이 제출한 국무총리 해임 건의안을 직권상정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지금까지 국회 의사일정은 대부분 양당 교섭단체 협의에 의해 정해졌는데, 이런 관행을 무시하고 강 의장이 해임건의안을 직권상정한 것은 유감"이라며 펄쩍 뛰었다.
앞서 새누리당은 "세계경제가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경제도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며 "국무총리가 해임되면 새 국무총리 인준 과정에서 올 수 있는 정쟁과 국정운영의 표류가 불가피하다"며 우려를 표시해왔다.
일각에서는 이날 강 의장의 총리 해임 건의안 직권상정은 검찰 소환에 불응한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를 압박하기 위한 '명분쌓기'라는 주장도 있다.
해임건의안이 통과되려면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임건의안이 통과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새누리당 의원이 국회의원 재적 300명 가운데 149명에 달하고 선진통일당과 새누리당 출신 무소속 의원 등까지 합치면 과반수가 넘어 통과되기는 쉽지 않다.
김 총리의 해임건의안은 21일 오후 2시까지 처리해야 한다. 토요일에는 본회의 개최가 불가능해 이날 처리되지 않을 경우 자동 폐기된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은 처리가 불가능할 것을 알면서 해임 건의안을 낸 것"이며 "그래서 이를 정치공세라고 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한편 해임건의안에 대한 표결은 20일 대정부질문을 마친뒤 진행될 것으로 보여 최종처리 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