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류리포구에서 접경지 남북교류협력 현장 간담회 개최
정하영 시장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남북교류협력 나설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30일 오후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이 전류리포구에서 개최한 ‘접경지 남북교류협력 현장 간담회’에서 정하영 시장은 “한강하구는 이곳 전류리를 비롯 용강리 · 조강리 등 포구가 있어 물류를 위한 중요한 뱃길이었다. 분단 이후 뱃길이 끊겼지만 남북평화시대를 맞아 새로운 물길이 열리고 있다”며 “한강하구는 한반도의 자산이자 남북통일의 마중물로서 김포시가 그 길을 열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 시장은 “한강하구 물길 복원은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교류협력이 강화될 때 가능하다. 독일의 경우에서 보듯 정부 간 만남 전에 문화, 인적, 농업 등 다양한 민간교류와 지자체 간 교류가 쌓여야 통일이 가능해진다”며 “현행법에 따르면 교류의 당사자로서 지자체가 배제되어 있다. 지자체가 남북교류에 주도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접경지 남북교류협력 현장 간담회’에는 경기도 이화영 부지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박진영 정책소통국장, 경기연구원 이한주 원장, 정하영 김포시장 외에 통일부와 전류리어촌계 관계자 등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전류리포구에서 한강하구 어로한계선까지 약 4km 구간을 어선 8척에 나눠 탑승, 현장을 살펴본 후 전류리 어촌계사무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남북교류협력 추진전략 및 방안’과 ‘경기도 남북교류추진 계획’에 대한 설명과 전류리어촌계로부터 제안 및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