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시의회 통복천 수질개선 대책 특별위원회에서는 29일 부천 심곡천, 고양 일산호수공원, 청계광장 등 3개소에 대한 비교견학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비교견학에는 통복천 수질개선 대책 특별위원회 이병배 위원장을 비롯해 김승겸 부위원장 김동숙·유승영·이윤하·정일구 위원과 시청 관련부서 관계자, 통복천 인근 주민대표 등 40여명이 함께 했다.
첫 견학장소로는 부천의 도심하천인 심곡천으로, 지난 2017년 복원공사를 통해 생태하천으로 복원해서 아이들이 하천에서 물놀이를 할 수 있도록 수변공원으로 조성하면서 하천 주변 상습침수 문제가 해소 등 환경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통복천에 접목할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방문한 고양 일산호수공원은 수질이 2~3m 바닥도 훤히 보이는 1급수로 관리되고 있고, 1997년 개장한 호수공원은 바닥 준설방식을 무혼탁 준설공법이라는 신기술 수질관리 방법을 채택해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수 수질관리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어 배다리저수지 수질개선에 접목할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방문한 청계광장은 청계천으로 진입하는 공간으로서 삼색 조명이 어우러진 촛불 분수와 4m 아래로 떨어지는 2단 폭포가 설치되어 있고, 2단 폭포 양옆에는 8도(道)를 상징하는 석재로 팔석담(八石潭)을 조성했는데 밤이면 불빛과 물이 어우러져 멋진 경관을 빚어낸다고 한다.
청계광장 현장을 몸소 체험하고 조성된 시설물들을 둘러보며 통복천 복원사업에 적용 가능한 사항이 무엇인지 집행부와 통복천 인근 주민대표와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특별위원회는 부천시 생태하천과, 고양시 공원관리과, 서울시설공단 시설관리 관계자들의 브리핑으로 심곡천 복원 추진과정, 고양 일산호수공원 수질관리 방식, 청계광장 조성 및 사후관리 등에 대해 자세히 청취하고, 우수사례에 대한 현장을 둘러보며 통복천에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꼼꼼하게 비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