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9 12:00 (수)
'세월호가 삼킨 일자리'…청소년수련시설 '휴업·실직' 직격탄
상태바
'세월호가 삼킨 일자리'…청소년수련시설 '휴업·실직' 직격탄
  • 박혜림 기자
  • 승인 2014.05.13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월호 참사 후폭풍으로 도내 청소년 수련시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세월호 참사 사고 이후 수학여행, 수련활동 전면 금지된 가운데 청소년 수련시설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지만 중앙 정부의 불명확한 사후 대응책으로 업계 파장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지난달 21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수학여행 전면금지 조치 이후 도내소재 유명 청소년 수련원은 기존에 예약된 수련 활동 전부가 취소되면서 경영 악화로 이어졌다.

이에 해당업체는 상주 직원 40여 명이 전원 권고사직 된 데 이어 경제적 손실만 약 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속 청소년 지도사 박모(35)씨는 "현재 수련원은 휴업신청을 한 상태로 급여의 40%를 정부로 부터 지원 받고 있지만 이 역시 4대보험 가입자에 한하고 있어 단기 근로계약자가 많은 수련원의 특성상 그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조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박씨는 "중앙 정부, 지자체 어느 하나 막론하고 사정이 전환 될 때까지 기다리란 말 뿐이었다"고 한숨 지었다.

도내 다른 청소년 수련시설도 상황은 매한가지였다.

청소년지도사 우모(29·여)씨는 "지난 15일 동안만 해도 지자체, 여가부(여성가족부), 진흥원(한국청소년활동진흥센터)으로부터 5차례 점검이 이뤄졌다"며 "지금 같은 시기에 안전 점검을 철두철미하게 진행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지만 수련시설의 가동이 전면 중단돼 수익이 전무한 상황에서는 무의미한 일"이라며 "안전점검을 지속하는 것은 경제적 손실로 이어져 부채만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에 지난 5일 기획재정부가 세월호 참사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타격을 입은 여행업계와 숙박업계 관련, 제반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오로지 학생 수련활동의 매출에만 의존하는 수련시설업체의 경우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한국 청소년수련시설 협의회 이지환 이사는 "도산 위기의 청소년수련기관이 300여 곳에 달해 중앙 정부의 부실한 대응이 오히려 수련업계와 근로자들을 사지로 몰아넣고 있다"며 "없애고 금지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뚜렷한 대응 없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안전 점검의 여력이 없어진 수련시설에서 또 다른 세월호 참사를 낳게 될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한편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한 해 약 650만명의 전국 초·중·고교생 중 170만명의 학생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