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경이 세월호 실종자 구조작업에서 해군 잠수요원들의 투입을 통제했다는 새정치민주연합 진성준 의원의 지적에 대해 "16일 사고발생 이후부터 선체 수색을 위한 잠수시간과 잠수 할당 순서는 해경의 판단과 결정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군은 30일 '해경, 언딘 위해 UDT 잠수 막았다'는 보도에 대해 입장자료를 내어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민·관·군 잠수사는 재난구호 책임기관인 해경의 주도 하에 탐색구조활동을 실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해군은 "이번 사고에서 해경은 탐색구조를 위한 모든 자원(해경·해군·민간)을 활용해 잠수계획을 수립·집행하는 주무 기관"이라며 "구조작전절차도 해경 주도하 일일 잠수계획을 수립하고 할당된 구역별 잠수를 해 실종자 수색 및 수습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군은 조류 등 해상여건과 해경·해군·민간 잠수사들의 특성을 고려해 수립한 잠수계획에 따라 해경과 협조해 탐색구조활동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진성준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세월호 침몰 이튿날인 17일 사고 해역 물살이 가장 느린 정조 시간에 해군의 최정예 잠수요원인 특수전전단(SSU) 대원 9명과 해난구조대(UDT) 대원 10명에게 잠수 준비를 시키고 대기를 명했지만 즉각적인 투입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 때문에 "해경이 세월호 실종자 구조작업을 맡고 있는 민간업체 '언딘'이 세월호 침몰 현장 잠수를 먼저 해야 한다"며 해군 잠수 요원들의 투입을 통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번에 해군이 잠수사들의 관리를 해경이 전담하고 있다고 밝힘에 따라 이같은 의혹은 향후 만만찮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