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이미재 의원이 DMC첨단산업센터 세미나포럼장에서 열린 '2025 지방의정대상' 시상식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경력보유여성 지원을 위한 입법활동을 펼쳐온 공로를 인정받아 영예로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정부는 여성들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여성들이 결혼·출산·육아로 인해 노동시장을 떠나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여성 중 42.6%가 경력단절을 경험했으며, 육아휴직 후 직장 복귀율은 절반 수준(54.3%)에 불과하다. 또한 통계청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에서는 경력단절 기간이 5년 이상인 기혼여성이 64.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재 의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 간담회를 열고 경력단절여성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했다. 참석자들은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이 매우 어렵다”, “단절 기간의 경험도 경력으로 인정해 달라”는 등의 의견을 제시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이미재 의원은 기존 ‘경력단절여성’ 용어를 ‘경력보유여성’으로 바꾼 '경력보유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 조례'를 대표 발의하였다. 이는 여성의 역량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경력을 보유한 인재’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개정이 논의되고 있어, 지방의회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제도를 마련한 의의가 크다.
이미재 의원은 “여성들이 경력의 단절이 아니라 경력의 연결·전환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여성의 전문성과 잠재력이 제대로 평가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