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팩토리 등 10개 분과 운영…1000여개 기업 참여
2027년 예산 편성부터 제안된 과제에 최우선 배정
업종 특성별 테스트베드 지원…규제 개선·표준 마련

정부가 제조업의 구조적 위기를 돌파하고 제조 AI전환(AX)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기업, 연구기관, 학계와 제조 AX 얼라이언스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에 나설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M.AX 얼라이언스' 공동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나 AI 기업은 비교적 부족하다. 이에 제조 기업과 AI기업 간 협력도 미약한 상황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얼라이언스에는 업종별 대표 제조 기업과 AI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얼라이언스는 ▲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 10개 분과로 꾸려진다.
각 얼라이언스는 업종별 대표 기업, AI 개발기업, 반도체·배터리 등 부품·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모두 참여한다.
이들은 데이터 공유, 공동 기술개발 사업 등을 통해 AI 모델과 AI가 탑재된 제품·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업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 수요 맞춤형으로 연구개발(R&D) 예산, 펀드, 인프라 등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얼라이언스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산 편성에 나선다.
지난달 국무회의를 통과한 산업부의 내년도 AI 예산안은 1조1347억원이다. 이후 2027년 예산안 편성부터는 M.AX 얼라이언스에서 제안한 과제를 최우선으로 반영하려고 한다.
얼라이언스에 참여 중인 기업과 관련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국민성장펀드, 각종 민·관 펀드 등의 자금을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금융기관들과 협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팩토리 확산, AI 적용 제품 개발 및 관련 인프라 구축, 업종 특화 AI모델 개발 등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실증 공간,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업종·제품 특성에 맞는 테스트베드 등을 지원한다.
AI 모델 개발 및 AI 적용 제품·서비스의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도 개선할 방침이다.
AI 융합 제품과 AI 데이터 처리와 같은 표준 등 관련 제도도 마련한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1000개가 넘는 대표 기업 등이 자발적으로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것은 제조 AX는 기업의 생존 문제라는 절박한 인식 때문"이라며 "우리가 가진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간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2030년 제조 AX 1등 국가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