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8 16:30 (목)
서울시, 독립유공자 230명 발굴…국가보훈부에 포상신청
상태바
서울시, 독립유공자 230명 발굴…국가보훈부에 포상신청
  • 류효나 기자
  • 승인 2025.08.28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보훈부 포상신청서 검토후 포상여부 최종 결정
▲ 포상신청설명회 단체사진.
▲ 포상신청설명회 단체사진.

서울(한성·경성) 출신 독립유공자 230명이 새롭게 발굴되었다. 이번 발굴은 서울시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서울시는 새롭게 발굴된 독립유공자들에 대해 27일, 국가보훈부에 포상신청서를 제출하였다.

이번 발굴 연구를 담당한 인천대학교 독립운동사연구소는 5월부터 6인으로 구성된 연구팀을 꾸려 일제 침략기 및 강점기에 생성된 주요 문서를 해석하며 서울출신 독립운동가를 찾는 작업을 하였다.

연구소에서는 판결문, 형사사건부, 집행원부, 수형인면부, 일제감시대상 인물카드 등 약 7만 건의 사료 중 8천 건의 서울출신 독립운동가 사료와 특히 기존에 연구하지 않았던 일본외무성기록과 경성지밥벙원 검사국 문서 등을 연구하여, 약 230명의 서울출신 독립운동가를 발굴해내는 성과를 내었다.

이외에도 지금까지는 독립운동 활동에도 불구하고 이념이나 무죄, 면소 판결의 경우 포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최근 이런 제약이 약해짐에 따라 보다 많은 독립유공자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발굴된 독립유공자에는 경성부 창신동 출신으로 평북 정주 오산학교 교사였던 ▲박현환(朴賢煥) 지사와 비밀 결사 조직 동우회를 조직하고 매국노 이완용의 집에 방화를 한 ▲김경석, 최병선 지사 등이 있다.

한편, 시는 27일 오후 2시 서울시청에서 ‘서울 출신 독립유공자 포상신청 설명회’를 개최하고, 국가보훈부 장관을 대신하여 행사에 참석한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에게 공적자료가 첨부된 서울특별시장 명의의 포상 신청서를 전달하였다.

국가보훈부는 포상신청서를 검토한 뒤, 최종적으로 독립유공자 포상여부를 확정하게 된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에 기여했으나 제대로 된 예우를 받지 못하던 서울 출신 독립유공자 발굴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라면서 “내년까지 발굴사업을 지속해 총 500명의 독립유공자를 찾아내는 것이 목표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