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민생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다. 민생 과제 해결에 주도적으로 나서 수권능력을 증명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12·3 비상계엄’ 이후 이어온 소속 의원들의 비상대기를 해제하고, 설 연휴 전 ‘민생 입법’ 과제를 발표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19일 복수의 야당 관계자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는 오는 20일 당내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5대 은행, 기업은행장 등이 참석하는 ‘상생금융 확대를 위한 민주당 정무위원회·은행권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서민 금융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얼어붙은 경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소상공인·금융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한 상생 금융 지원 방안 등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은 ‘민생입법과제’를 발표한다. 입법 과제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로) 행사 이후 재표결서 폐기된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법(지역화폐법)’을 비롯해 건보 급여 대상에 ‘간병’을 포함하는 건강보험법 개정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민생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 위해 당 차원에서 이어온 ‘비상대기’도 종료한다. 김성회 민주당 대변인은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내부적으로 회의를 거쳐서 (지금까지는) 모든 의원들이 서울에 집중해 30분 내 비상대기를 하자고 했었는데 설이 다가오는 만큼 이제 각각 지역으로 돌아가 여론전을 좀 잘하자는 얘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 원내지도부 의원도 “지역을 오래 비운 만큼 지역민과 어울리며 주요 사안을 설명하는 역할이 부재했다”며 “이런 점이 여론 등에 영향이 있었다고 보고 (비상대기 해제 이후) 지역을 가고 있다”고 말했다.
민생 강조 행보에는 최근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 추세가 배경으로 작용했다. 강경책으로 일관할 경우 보수 결집 양상을 더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깔려 있는 것이다.
이 대표도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야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에서 역전된 것 등을 겨냥해 “가짜뉴스 때문인지 바닥 민심을 잘 챙겨봐야 한다”는 취지의 주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최고위원은 “가짜뉴스가 (보수 지지층을) 결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정보가 왜곡되면 자신의 정치적인 생각도 교란될 수 있기 때문에 민주당 입장에서도 여론조사 결과와 관련해 면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