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의 통합 협상이 경선 룰 문제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민주당은 6일 오후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통합 협상에서 제시할 경선 룰 시안을 마련하려 했지만 당내 의견수렴에 실패했다.
당원 투표와 국민 참여 투표 비율을 정하는 문제가 쟁점이었다. 민주당 통합추진위원회는 대의원 20%, 당원·일반국민 80%으로 투표인단을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대의원은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이 같은 비율로 구성하고, 민주당의 진성당원(당비를 납부하는 당원) 12만여명을 국민참여경선 투표인단에 자동으로 가입시킨다는 내용이다.
일반 시민이 투표에 참여할 경우에는 통합 신당 당원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내용도 시안에 포함됐다.
하지만 '당원 주권론'을 앞세운 박지원 전 원내대표 측은 통합추진위원회가 제시한 경선룰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박 전 원내대표 측은 대의원과 진성당원의 참여 비율이 50%는 돼야 당원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된 경선이 치러질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7일 오전 통합추진위원회 회의를 열어 다시 시안을 조율한 뒤 이날 오후 열리는 '시민통합당' 창당대회 전까지 혁신과 통합과의 협상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당원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당 내 주장과 시민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는 당 밖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의견 절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혁신과 통합은 통합추진위원회가 제시한 '20:80' 경선룰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경선에 참여할 때 당원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내용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다.
혁신과 통합 오종식 대변인은 "투표를 할 때 당원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내용은 말이 안된다"며 "실질적으로 당원 경선을 하자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혁신과 통합은 민주당이 만족스러운 경선룰 시안을 가져오지 않을 경우 '시민참여당' 창당대회를 열지 않겠다는 초강수를 꺼내 들었다.
오 대변인은 "시민들의 참여를 제약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창당대회 대신 결의대회를 열어 국민들에게 이 상황을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통합당 창당대회가 이날 열리지 않을 경우 민주당 전당대회(11일) 직후 합당 절차에 들어가는 통합 일정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