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행복 수준, 올해 하락 추세 전환
국민 10명 중 1명 “주변에 의지할 사람 없다”
한국인이 느끼는 국가 경제 상황이 최근 6년 이내 ‘최악’으로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가치연구원(CSES)과 트리플라잇㈜은 ‘2025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CSES는 SK그룹이 설립한 연구재단으로 최태원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곳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가 경제에 대한 평가는 2020년 5.13점(10점 만점)에서 2025년 3.88점으로 조사 이래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개인 행복 수준은 지난해 6.54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올해 6.34점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했다. 사회문제가 국민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도 2020년 6.54점에서 2025년 6.97점으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잠시 위기에 빠졌던 한국 경제가 올해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한 번 얼어붙은 국민들의 마음은 좀처럼 활력을 찾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 사회, 삶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부정적 심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커 이들의 마음, 신뢰 회복이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눈여겨볼 만한 사항은 주변에 의지할 사람이 1명도 없다는 비율이 지난해 4.1%에서 올해 9.8%로 2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다. 국민 10명 중 1명은 주변에 의지할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경제 수준을 비관하고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제 수준을 비관하고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일수록 사회에 대한 불만이 크고 자신의 삶과 직결되는 경제 외에 환경 문제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는 분석도 나왔다.
자신이 경제적으로 하위층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사회문제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크다고 느끼며 ‘소득 및 주거 불안’, ‘고용 및 노동 불안정 등 경제 문제를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었다.
반면, 중산층 이상에 속한다고 인식하는 국민들은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 ‘자연재해’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처음으로 기업 성장과 직결되는 사회문제 영역을 알려주는 ‘지속가능성 맵’을 제안했다.
주요 산업별 30대 기업의 최근 2개년 지속가능보고서를 토대로 사회적 효과와 경제적 효과를 기준으로 한 4개 영역을 제시했다.
한편 2020년부터 시작된 ‘한국인이 바라본 사회문제’는 국민 1000명 대상 사회문제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로 올해 6년째를 맞았다. 지난 5월 전국 성인남녀 1000명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95% 신뢰수준, 오차 ±3.1%포인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