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 해소는 성평등부의 가장 기본적인 정책과제”라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 같이 말했다.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은 원 장관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몇 번의 발언을 통해 성평등부가 방향을 혼동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든다. 공공영역에 여성가산점과 할당제가 없는데 대체 대통령이 염려하는 여성할당제로 인한 역차별 문제가 어떤 것이냐”며 “성평등정책관실에 성평등정책과가 아닌 성형평성기획과가 주무부서가 된 것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에 원 장관은 “저는 역차별이라는 용어보다는 다른 성별이 불이익으로 느끼는 문제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며 “이에 대해 저희가 부처가 듣고 사회통합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성평등부의 가장 기본적인 정책 과제가 구조적 성차별 해소라는 것에는 흔들림이 없다”며 “(성형평성기획과 신설은) 공론의 장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이해를 높여 공존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와 관련한 여성계 우려와 ‘본말전도’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 밖에도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여성 비율이 현저하게 낮고, 특히 금융위원회 등 9개 기관은 아예 전무한 것과 관련해 “제가 취임한 이후 여성폭력, 젠더폭력 현장과 피해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과 정책이 무엇일지 고민해왔다”며 “그 부분도 저희 고민 영역 중에 있는데, 다시 한 번 챙겨서 의원님들이 다시 지적하지 않도록 적극 챙기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