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과거 중앙아시아, 몽골 지역을 지배했던 돌궐제국의 영토였다거나 한국의 종교가 티베트 불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는 등의 잘못된 정보가 실린 해외 교과서가 적잖은 것으로 확인됐다. 설상가상으로 한국 관련 오류 시정 업무를 책임져야 하는 재외공관이 안일하게 대처하며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 요청에 대한 재외공관의 회신율이 50-60%에 그쳤다.
공공외교 기본계획에 따라 교육부 산하 한중연이 해외 교과서 내 한국 관련 오류를 발굴하면 외교부가 재외공관을 통해 시정 활동을 담당한다.
감사원도 올해 3월 발표한 감사보고서에서 2021년부터 2023년 사이 한중연의 협조요청에 대해 미회신한 21개 공관 명단을 공개하는 등 동일한 문제를 지적했다.
이 의원실에서 후속 조치를 확인한 결과, 아르메니아(주러시아대사관 겸임국), 콩고, 프랑스, 피지 등 4개 공관은 감사원 지적 이후에도 무대응으로 일관하다가 뒤늦게 한중연에 회신 의사를 밝힌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 측은 “공관의 무관심 속에 해외 교과서 속 심각한 오류들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몽골 교과서에서도 한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 다수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돌궐제국 영토에 한국이 포함됐다거나 조선, 베트남 등이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속국으로 존재했다는 표현이 있다. 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문해율을 ‘문맹률’로 표기하기도 했다.
한중연에 따르면, 주몽골대사관은 몽골 교육 당국과 접촉하며 시정을 요구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나 몽골 측의 교과서 개정 계획이 불투명하고 양국 간 역사 인식 차이 등 민감한 사안이 얽혀 있어 실제 시정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몽골의 사례처럼 해외 교과서 내 한국과 관련된 명백한 오류가 발견됐음에도 재외공관이 이를 외면하고 방치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외교부와 재외공관에서 적극적인 의지와 책임감을 가지고 시정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