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직원을 폭행하고 폭언한 의혹을 받는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배금주 원장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지난 10일 사퇴한 것으로 확인됐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배금주 원장 임기가 내년 5월 7일인데 국정감사 시작 전인 10월 10일 돌연 사퇴했다”며 “국정감사 회피로 보이는데 너무 무책임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배 원장은 지난해 11월 원장실 내에서 직원을 폭행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또 회의 석상 등에서 직원들에게 반말로 폭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 감사자문위원회에서는 폭행 의혹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배 원장에게 올해 6월 ‘경고’ 조치만 내렸다. 해임까지 하기에는 과하다는 판단이었다.
남 의원은 “보건복지인재원에서 실시한 조직문화 진단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한 직원이 26명인데 아직도 9명이 업무적인 괴롭힘, 6명이 언어적인 괴롭힘(을 당한다고 응답하는) 등 여러 문제가 계속 파악되고 있다”며 “기관장 경고에서 끝날 게 아니라 구조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복지부는 배 원장의 행위가 피해자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초래한 것으로 인정해 기관장으로서의 품위 손상 행위를 했다고 판단해 놓고 왜 해임을 안 하고 임원 경고 조치에 그쳤냐”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임호근 복지부 정책기획관은 “감사자문위원회 판단 결과에 따라 엄중 경고 조치를 했다”면서 “(사퇴는) 전임 (배금주) 원장의 개인적인 면제 요청이 있었다”고 답했다. 그는 “인재원 자체적으로도 (재발방지책을) 수립하고 있고 복지부도 인재원을 관리·감독하면서 재발 방지책과 제도 개선 대책까지 추가로 마련하겠다”고 부연했다.
복지위원장인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감사자문위원회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결론이 난 사안을 중징계도 안 하고 서면 경고만 하는 것도 문제가 있는데 또 이분(배 원장)이 그만두겠다고 하니 사표가 수리되고 그만둘 수 있게 하는 것도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임 정책기획관은 “감사자문위원회 결과에 따르면 정관이나 감사 규정상 해임, 경고 외 중간에 중징계나 징계 단계에 관한 규정이 없어서 부득이하게 선택(서면 경고)한 것이라고 들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징계를 가볍게 해놓고 국감 피해서 도망가는 것 같은 사직을 받아들이는 등 앞뒤가 안 맞는다”며 “왜 사표 수리가 그냥 된 건지 확인해 답해 달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