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8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출석 논란과 관련해 “김 실장은 국감에 출석하지 않아도 되는 ‘면출’(免出) 특권이라도 가진 것인가”라고 물었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왜 김 실장만 예외인지 국민이 묻고 있다. 11월 6일 운영위 국감 당일 ‘대통령 일정 수행으로 불가피하다’는 불출석 사유서를 내며 또다시 국민을 기만하지 않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김 실장은 더 이상 숨어서는 안 된다. 당당하다면 국회에 나와 해명하라”며 “그것이야말로 이재명 정권이 ‘만사현통’이 아닌 국민 통(通)으로 가는 첫걸음”이라고 했다.
그는 “김 실장을 둘러싼 의혹은 단순한 신상 문제가 아니다. 그 정점에는 ‘강선우 장관 사퇴 통보’ 월권 사건이 있다”며 “장관 임명과 사퇴 통보는 인사위원회 위원장인 비서실장의 고유 권한인데 총무비서관이 직접 통보했다면 이는 명백한 월권”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디 이뿐인가. 이화영 전 부지사 재판 개입, 산림청장 인사 외압, 백현동 관여, 이재명 자금 관리 녹음파일 등 중대 의혹들이 쏟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태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서 김 실장 국감 출석 여부에 대해 “민주당 특히 정부가 결과적으로는 출석을 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실에서 (김 실장의) 직책을 변경해 가면서까지 여러 가지 출석을 시키지 않을 방안들을 고민했던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민주당과 정부는 출석을 안 시키려는 방향으로 일관된 태도를 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최수진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김 실장 출석과 관련된 여야 협의가 진행 중인가’라는 질문에 “협의가 안 되고 있다”고 답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내일 증인 채택 관련 상임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라며 “그때 강력히 김 실장의 운영위원회 증인 참석을 요구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여야는 29일 열리는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