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10-13 16:23 (월)
정부 "국정자원 화재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 20개 선정…이전 시작"
상태바
정부 "국정자원 화재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 20개 선정…이전 시작"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10.13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 국정자원 화재 브리핑서
"8전산실 전기공급 재개…즉시 복구는 어려워"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10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10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시스템 중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할 대상을 20개로 선정했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에 보다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1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분진과 화재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은 (5층) 7전산실과 7-1전산실의 시스템의 경우 장비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의 타 전산실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7-1전산실 내 시스템은 최소 96개로, 완전히 소실된 상태다.

김 차관은 이와 관련 이날 "협의 과정 중에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대상 20개를 선정했다"며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 및 소관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센터로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 이전을 위한 작업으로 5전산실과 6전산실에 신규 장비 설치를 완료하고 서비스별 순차적으로 이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층에 위치한 8전산실의 경우 분진 제거와 전원공사 작업을 지난 11일 완료해 전기 공급이 재개됐다.

김 차관은 "다만 다수 시스템이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해 즉시 복구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우선 복구한 후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2~4층에 위치한 1~6전산실 내 시스템 중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지난 5일 복구를 완료했다고 정부는 밝혔다.

이번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시스템 중 복구된 시스템은 이날 낮 12시 기준 총 709개 중 260개다. 복구율은 36.7%다. 등급별로는 1등급 75%(40개 중 30개), 2등급 51.5%(68개 중 35개) 등이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 작업에 보다 속도를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주말 동안 기존 700여명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 80여명을 추가 투입해 복구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시스템 복구와 상황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해오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의 불편이 신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