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MB 집사’ 구속 온도차…한국당 “언제까지 정치보복”

바른정당 ‘공정하고 중립적인 조사 촉구’ 우려 표시

2018-01-17     박경순 기자
▲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참석하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 핵심 측근이 국정원 특수활동비 불법 수수 혐의로 구속된 것을 두고 16일 여야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은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를 촉구했고 자유한국당은 ‘정치보복’, ‘한풀이’라고 반발했다. 바른정당은 공정하고 중립적인 조사를 촉구하며 우려를 표시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최고위에서 “국정원 특활비 상납과 다스 비자금 정점에 이 전 대통령이 있었다는 사실이 하나씩 드러나고 있다”며 “이제라도 이 전 대통령은 국민 앞에 실체적 진실을 고백하고 검찰은 신속하고 철저하게 모든 의혹을 밝혀주기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 전 대통령 측이 대책회의를 연 것을 언급한 뒤 “잘못을 저지르고도 죄증을 인멸한다거나 법망을 빠져나갈 궁리만 하는 것은 한 나라의 대통령답지 못한 꼴사나운 모양새이고, 독재자의 관계기관 대책회의가 연상될 뿐”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김현 대변인은 오전 현안브리핑에서 “이 전 대통령 40년지기 김백준, 김진모씨 구속은 사필귀정”이라며 “지금이라도 이 전 대통령은 정치보복이라고만 둘러대지 말고 자신을 둘러싼 모든 의혹을 이실직고부터 해야 한다”라고 요구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백준씨 구속으로 이 전 대통령 수사도 급속도를 탈 것’이라는 관측에 “진실을 규명하고 문제가 있으면 거기에 따라 적접하게 처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철근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검찰 수사를 통해 이 전 대통령과 연관이 있다고 밝혀질 경우 이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수사를 회피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검찰은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로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추혜선 정의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검찰은 이명박 정권을 둘러싼 모든 의혹들을 빠짐없이 철저히 수사하고 이 전 대통령을 조속히 소환 조사해 천인공노할 범죄들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한다”며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지 않은 채, 정치보복이란 말만 반복하고 있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진심어린 사죄가 있기를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문재인 정권은 살아있는 전직 대통령은 전부 법정에 세울 것으로 보인다”며 “전직 대통령을 꼭 법정에 세워야 되겠다는 정치보복적 일념으로 국정원 댓글에 이어 다스 또 국정원 특활비까지 엮어서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과 한풀이를 달성하려는 이 정권에게 경고한다”라고 현 정부를 힐난했다. 

그는 “언제까지 정치보복, 정책보복, 인사보복으로 점철할 수 있을 것인지 지켜보겠다”라며 “촛불정신이 정치보복, 정책보복, 인사보복을 위한 촛불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라고도 주장했다.

바른정당은 김익환 부대변인 명의 논평을 내어 “검찰의 칼날이 전 정권을 넘어 이명박 정권으로 향하고 있다”라며 “전직 대통령과 관련한 중차대한 사안으로 온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 만큼 검찰의 명운을 걸고 공정하고 중립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김 부대변인은 “없으면 말고식으로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며 “표적수사나 정치보복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서라도 법과 원칙만을 보고 가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