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한발한발 '이명박근혜'로 간다

김관진 구속…검찰, 댓글공작 윗선 이명박 겨냥
朴 정부 국정원장 줄소환…朴 조사도 임박 관측

2017-11-12     박경순 기자
▲ 이명박 전 대통령이 2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블랙리스트 관련 논란에 휩싸인 동시에 군사 보안시설인 국군 기무부대 내 테니스장을 퇴임 이후에도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향해 칼끝을 겨누고 있는 검찰의 '적폐 수사'가 상당 부분 진척되면서 두 전직 대통령 조사 역시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지난 정권 국가정보원장과 장관 등 핵심 인사를 줄소환 한 검찰 수사의 종착지는 결국 두 전직 대통령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검찰이 수개월에 거쳐 포착한 각종 혐의와 의혹의 정점에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있다는 것이다.  

 검찰의 국정원과 군 댓글 공작 사건 수사는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을 지난 11일 구속하는 등 상당 부분 진척된 상태다. 김 전 장관이 이 전 대통령에게 군 사이버사 활동 등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진 상황인 만큼 당사자 조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검찰은 "김 전 장관의 혐의사실 대한 조사가 일단락된 뒤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며 신중한 모양새다. 이명박 정부 국정원장이던 원세훈 전 원장 조사 역시 필요 관문으로 거론된다. 

 이에 비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는 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 국정원에 돈을 요구했고, 수년에 걸쳐 수십억원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해당 자금을 은밀하게 관리된 비자금으로 판단한 상태다. 

 상납 과정에서 전달책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이재만·안봉근·정호성 전 비서관 등 문고리 3인방 역시 사실관계는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이 전 총무비서관은 박 전 대통령 지시로 국정원으로부터 돈을 받아온 사실을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 문고리 3인방을 연일 부르는 등 자금의 사용처를 파악하고 있다.  

▲ 박근혜 전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으로 구속 연장 후 처음으로 열린 80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국정원장들에 대한 조사도 마무리 국면이다. 지난 8일 남재준 전 국정원장이, 지난 10일 이병호 전 국정원장이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고강도 조사를 받았다. 이 가운데 남 전 원장은 국정원 특수활동비가 청와대 요구로 전달된 사실관계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돈을 건넨 쪽 조사를 상당 부분 진행한 검찰은 박 전 대통령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전 대통령을 사실상 뇌물수수 피의자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13일 예정된 이병기 전 국정원장 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박 전 대통령 조사 시기 및 방법을 결정할 예정이다. 박 전 대통령이 국정농단 재판을 보이콧하고 있는 만큼 검찰 조사에도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구치소 방문 조사 등이 방법으로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