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5개 출연연 정규직전환 추진
정부 출연연구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전환 가이드라인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서 상시·지속 업무를 수행하는 비정규직 근무자의 정규직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분야 25개 출연연의 정규직 전환이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출연연구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24일 발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지난 7월 20일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의 후속조치로,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의 원칙 안에서 출연연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해 마련됐다. 과학기술분야 25개 출연연은 기관별 임무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연구기관 특성 상 연구과제 수행에 필요한 전문 연구인력, 연구보조 인력 등을 비정규직 형태로 운영해 온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각 기관별로 비정규직의 운영 방식, 비정규직 근무자가 수행하는 업무 특성이 다양해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데 애로가 있었다. 이에 7월부터 10월까지 출연연, 노조, 전문가 등과 총 15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공통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가이드라인에는 ▲전환대상 업무(상시·지속 업무범위 확대) ▲인력전환(‘현 근무자’ 전환 원칙, 경쟁채용의 정당성 확보 절차 마련) ▲전환절차 및 일정(12월까지 전환계획 수립, 기간제는 2018년 3월까지 전환완료) ▲기타(‘연수직’을 별도로 신설, 고용안정 및 처우개선 추진)등의 내용이 담겼다. 과기정통부 이진규 제1차관은 “그동안 우수인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연구기관의 특성과 출연(연) 연구일자리 진입 경쟁에서의 ‘경쟁기회 공정성’ 등을 고려해 ‘현 근무자’ 전환이 아닌 경쟁채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연구기관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연구 성과에 기여하고 있는 ‘현 근무자’의 고용안정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정책의 취지에 더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 차관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등 경쟁채용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연구업무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해 합리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 경쟁채용이 가능하도록 명시했다”며 “이 경우에는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객관성과 정당성을 확보한 경우에 한해 적용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절차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연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마무리될 때까지,현장 설명회 개최, 문의게시판 운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현장과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