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1.25%, 14개월째 ‘동결’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이날 금리동결 만장일치로 결정돼

2017-08-31     전성희 기자
▲ 8월 3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1.25% 수준으로 동결했다. <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1일 연 1.25%의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에따라 기준금리는 지난해 6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1.25%로 인하된 뒤 14개월째 동결 기조를 이어가게 됐다. 

금통위는 한은 부총재의 공석이 채워지면서 다시 7인 체제로 복귀했다. 이날 금리 동결은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직후 발표한 ‘통화정책방향’에서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을 금리 동결의 이유로 꼽았다.

한은은 “금융시장에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주가, 환율 및 장기시장금리가 상당폭 등락하는 등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또 한은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투자가 주춤했으나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소비도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 국내 경제의 성장 흐름은 지난 7월 전망 경로와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물가 수준에 대해서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 가격의 상승, 지난해 전기료 인하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2%대 초반으로 오름세가 확대됐다”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당분간 2% 수준에서 등락하겠으며 연간 전체로는 7월 전망 수준(1.9%)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국내 경제는 견실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나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주요국과의 교역 여건,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 6월 이후 꾸준히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 언급해 왔다. 올해 들어 경제 성장세가 본격화된데다 주요국 통화정책이 긴축 흐름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가계부채가 급증해 1400조원에 근접한 점도 부담이다.

한은은 이번 통화정책방향에서도 지난번에 사용했던 “국내 경제는 견실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문구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달에도 금리를 동결한 것은 아직 인상에 나서기에는 이르다는 판단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한 리스크가 커졌다.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지만 성급하게 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계의 취약성이 더 커질 우려도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경제가 당분간은 개선 흐름을 보일 것으로 판단하지만 북한의 리스크는 영향의 정도를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가계부채를 급격하게 줄일 경우 실물경제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시장에서는 올해까지 한은이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북핵 리스크와 8·2부동산 대책과 9월 발표할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의 영향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 9곳 중 골드만삭스과 바클레이스 등 4개사는 내년 1분기, JP모건과 UBS 등 3개사는 내년 2분기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측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9월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과 북한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부담요인이 존재한다”며 “연내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원론적으로 내수 경기 회복, 건설투자의 기여도 등에도 도움이 되지 못할 전망이어서 ‘인상’ 소수의견 등장은 빨라야 10~11월 중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한은이 연내 금리인상을 서두를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다만 대내외 여건이 갖춰진 상황을 가정한다면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2018년 3월말)를 감안할 때 예상보다 다소 앞당겨진 1분기 인상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