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아베 日총리와 통화…"北도발은 이웃국가에 대한 폭거"

한일 정상 "北 압박 극한으로 높여 대화의 장으로 유도해야"

2017-08-30     박경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로 지난 29일 일본 상공을 통과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간 통화를 통해 전날 있었던 북한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도발에 따른 한일 양국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오늘 오전 9시30분 아베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통화는 지난 25일 이후 5일만이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이뤄진 5번째 통화이기도 하다. 두 정상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일본 영공을 지나며 긴장 수위를 높이자 정상통화를 다시 갖고 긴밀히 공조했다.

 북한이 전날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발사한 화성-12형은 일본 홋카이도 영공을 통과해 에리모 미사키 동쪽으로부터 약 1180㎞ 떨어진 태평양에 낙하했다. 최대고도 550㎞에 비행거리는 2700㎞에 달했다. 

 이번 통화가 오전 9시30분부터 25분 동안 이뤄졌다고 설명한 박 대변인은 "두 정상은 한국과 일본이 유례없는 위기에 공조를 이룬 점을 높이 평가하고 북한의 압박을 극한까지 높여 북한이 스스로 먼저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해야하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아울러 유엔 안보리가 유례없이 신속하게 소집되고 첫날에 의장 성명이 채택된 것은 한미일간 긴밀한 공조의 결과라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양국 정상은 또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대북 대책이 담긴 유엔안보리 제제결의안을 추진할 것과 이 과정에서 한·미·일이 논의를 주도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협력을 얻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자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일본 영공을 통과한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도발을 넘어 이웃 국가에 대한 폭거"라며 "한국 정부는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즉각 소집해 북한 도발을 강력하게 규탄했다"고 말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전날 공군 K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항공폭탄 8발을 투하하는 무력시위를 벌인 점을 설명하며 "역대 최고강도 대응이었다"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일본 국민이 느낄 불안과 위협에 깊은 공감과 위로를 전했다. 두 정상은 앞으로도 지금과 같이 즉각적으로 연락하면서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며 "9월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추가적인 논의를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날 한일 정상통화가 이뤄진 배경에 대해 "일본에서 먼저 요청해 이뤄졌다"면서 "어제 저녁에 통화하려고 했는데 서로 일정이 잘 맞지 않아서 오전에 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옵션은 테이블에 있다"며 강경기류로 급선회 한 것에 대해 "한반도 정세의 엄중함을 반영한 경고라고 봐야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미일의 강경대응이 한반도 긴장감을 다시 고조시키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북한이 미사일을 쏘는 것만 남은 상황 자체가 최고조로 왔는데 대응도 최고조여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