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건소금연치료 全자치구로 확대
서울시가 시민의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보건소 금연치료를 전 자치구로 확대하는 등 주민밀착형 금연서비스를 강화한다.
서울시는 22일 이같은 내용의 '2017년 금연도시 서울만들기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시는 시민이 금연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상담·치료를 지원하는 '보건소 금연치료'를 지난해 5개 자치구에서 올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보건소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시 주관 금연클리닉의 등록률과 성공률을 관리하는 한편 상담사 직무교육 강화, 취약계층 맞춤형 상담매뉴얼 개발, 정기적인 보건소 기술지원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금연클리닉 참가자중 성공한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금연 활동가를 발굴해 금연 상담자 역할을 맡길 계획이다.
서울시는 청소년 흡연 차단을 위해서는 '서울시 청소년 흡연예방 협의체' 활동을 활성화한다. 서울시교육청과 협력하는 청소년 금연교육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민생사법경찰단을 통한 청소년 담배 불법판매 관리를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청소년 흡연 주요원인인 '개비담배'의 판매 현황을 전수조사하고 편의점내 불법 판매를 점검한다.
기존 금연구역의 유지·관리에도 주력할 계획이라고 서울시는 밝혔다. 시민 간접흡연 피해 최소화의 일환으로 간접흡연 피해방지를 위한 '흡연자·비흡연자가 상생하는 흡연구역'을 올해도 설치한다.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친환경 흡연시설 디자인 공모전'이 올 상반기에 열리고 하반기에는 간접흡연 피해가 많은 실외 금연구역에 흡연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공모사업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지하철 출입구의 금연구역 안내체계를 개선하고 홍보와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유동인구가 많은 100개 출입구를 우선 대상으로 금연구역 안내체계를 개선한다. 5월중 시·자치구 합동 캠페인과 특별단속을 통해 지하철 출입구 금연제도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최근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으로 담배 판매량이 감소 추세인 만큼 시민이 금연에 쉽게 도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금연서비스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아울러 청소년의 담배접근을 원천 차단하고 금연구역을 철저히 관리함으로써 시민 모두가 건강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