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혁신센터…제조분야는 폐지, IT쪽은 유지 가닥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박근혜 정부가 만든 창조경제혁신센터 앞날이 불투명하다. 박근혜 정부가 물러나면서 전국의 18곳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아예 폐지되거나 유명무실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선 차기 정부 출범 이후 공중분해설까지 나돌고 있어 그야말로 풍전등화 상태다.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프레임의 콘트롤타워역할을 했던 미래부 역시 창조경제 사업은 물론 존폐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현재까지 성과와 여건에 따라 폐지쪽으로 가닥을 잡거나 지속 운영을 한다는 쪽으로 나뉘는 분위기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적극 나서고 있는 삼성 현대차 SK LG 등 각 그룹들은 센터 존속여부를 두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기업 육성과 중소기업 혁신, 지역특화사업을 목표로 탄생한 시설이다. 지역별 혁신센터는 대기업들이 전담하는 형태로 이뤄지며 전담 대기업의 혁신역량을 활용해 창업을 장려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해 지역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최근 박 전 대통령의 탄핵과 함께 새 정권 출범이 다가오면서 센터 지속가능성이 불투명해진 것이다.
현재 각 그룹들은 창조경제혁신센터 향후 운영을 두고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일부에서는 폐지가능성을 염두고 두고 있는 반면 성과가 좋은 그룹은 지속 운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부문 대기업 관계자는 "스타트업들의 창업분야와 사업부문 간 연관성도 떨어지고, 센터 운영 결과 별다른 성과나 효과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 단계에서 센터 축소든 확대든 결정된 것은 없다. 다만 정권 바뀌면 상황봐서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창조경제센테 운영은 기업이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 지자체 예산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으로 주위 기업들의 분위기를 살펴보면서 향후 운영을 할지 결정될 것"이라며 "창조경제 이름변경 등 검토한바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우선 통신·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업종 기업의 경우 혁신센터 운영에 긍정적이다. KT(경기), 네이버(강원), 카카오(제주) 등은 "현재 하고 있는 사업을 계속하면서 운영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이미 지자체 예산도 확보했다. 올해 운영하는 데 전혀 문제없는 상황"이라며 "센터 운영을 잘 하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어 내부에서도 계속 운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조기 대선이 예정된 상황에서 차기 정권이 혁신센터를 계속 이어갈지 여부는 현재 불투명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혁신센터를 일괄 폐지하거나 기존대로 18개 모두를 끌고가는 것보다는 선별적으로 통·폐합해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편 창조경제혁신센터 홈페이지(1월20일기준)에 따르면 센터를 통해 현재 1713곳, 신규채용이 2524명, 매출증가 효과 2866억원, 투자유치 3687억원 등 창업기업 육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