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 '줄소환' 우려에 재계 비상 돌입…'독대 그룹' 초긴장

2016-11-09     안명옥 기자
▲ 검찰이 박근혜 정부의 비선 실세 최순실 씨 의혹과 관련해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들고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2016.11.08.

朴 대통령 독대 7대그룹 기업들 우선 조사 가능성에 대응총력 
'정기인사, 내년도 사업계획 추진' 등 경영 차질 크게 우려 
일각 "출연금 정권압박에 의한 것…우리가 피해자"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 검찰 수사가 그룹 총수까지 사정권에 들어가면서 재계는 큰 당혹감을 보이면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고 있다. 

출연금 관련 그룹들은 검찰의 칼끝이 총수에 미칠 가능성을 고려, 비상태세를 갖추고 검찰 수사 관련 정보파악과 함께 법률적 대응을 위한 준비에도 총력을 쏟고 있다. 그러면서 이번사태로 연말 정기인사와 내년도 사업계획 확정 등에 경영전반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질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9일 검찰 및 재계에 따르면 검찰이 지난 8일 삼성그룹에 대한 압수수색에 이어 '최순실 게이트' 관련 주요그룹에 대한 수사범위를 놓고 총수 소환까지 불사하겠다는 강경입장을 드러내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재계는 검찰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으로부터 박근혜 대통령이 주요 기업 총수들을 독대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검찰은 전날 최씨 관련 수사와 관련,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겠다. 국민경제에 끼치는 영향도 고려해줘야 한다"면서도 "(기업들이) 사실에 부합하게 얘기를 하지 않는다면 총수들도 불러 조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재계는 검찰의 이같은 방침에 초긴장 상태다.

▲ 검찰이 박근혜 정부의 비선 실세 최순실 씨 의혹과 관련해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들고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2016.11.08.

재계 안팎에서는 재계에 대한 검찰수사가 속도를 낼 경우 박 대통령과의 독대 그룹 총수가 우선적으로 대상이 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과 독대한 그룹 총수간에 어떤 대화가 이뤄졌는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서다. 

지난해 7월 비공개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 면담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7대그룹 총수들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 승마협회 회장사인 삼성은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에 35억원 상당의 말 구매 비용 등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8년만에 검찰 압수수색을 당했다. 이 돈은 최씨가 독일에 설립한 비덱스포츠를 통해 컨설팅 비용 명목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의 경우는 오너의 특별사면과 관련해 후원 압박을 받았다는 주장이 흘러나오고 있고 포스코와 한화, CJ 등도 검찰 수사와 사면 등의 문제로 청와대와 어떤식의 대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재계는 일단 삼성의 압수수색 파장을 잔뜩 긴장한채 주시하고 있다. 삼성에 이어 다른 대기업으로 검찰 압수수색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직접적인 이슈가 있는 기업이 아닌만큼 아직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나 향후 수사 방침을 예의주시하고있다"면서 "출연금이 정권의 압박에 의한 것으로 오히려 우리가 피해자인데 검찰 압수수색 등으로 오히려 범죄자가 된 듯해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