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美금리 12월 인상 가능성 높지만…트럼프 변수에 확신 못해"
작년과 달리 'next meeting' 단어 빠져…"내년 금리인상 속도조절 시사"
증권가에서는 새벽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정대로 12월에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도 지난해와 달리 단정적 표현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확신할 수준은 아니라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미국 대선 판도가 박빙으로 흘러가는 가운데 트럼프 당선 시 기존 성장 전망 불확실성이 커진 것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Fed는 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를 통해 0.25~0.5%인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인상 이후 7번 연속 동결한 것이다. 금리 동결에 반대한 위원은 지난 9월 3명에서 2명으로 줄었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10월 FOMC 회의의 경우 '다음 회의에서 금리인상의 적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문구를 통해 12월 금리인상을 시사한 것과 달리, 이번 회의에서는 단정적 표현은 포함하지 않았다는 게 차이점이다.
다만 기존의 '추가 개선 증거를 기다릴 것'이라는 표현에 '약간의(somewhat)' 등의 수식어 표현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금리인상이 조금 더 가까워졌음을 시사한 것으로 증권가는 분석하고 있다.
HMC투자증권 변지영 연구원은 "Fed가 금리인상이 가까워졌음을 시사했지만 작년과 달리 단정적 표현을 싣지 않았다"며 "이는 트럼프와 클린턴 지지율이 박빙인 가운데 트럼프 당선 시 경제 정책과 성장전망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12월 금리인상 전망을 유지지만 대선 관련 불확실성 해소가 전제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래에셋대우 윤여삼 연구원도 "작년 10월 회의에서 'next meeting'이라는 문구가 다음 회의 인상을 확신하는 근거가 됐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그 정도로 명확한 시그널이 있지는 않았다"며 "대선을 앞둔 분위기라고 하더라도 연준의 금리정상화 속도가 빠르지는 않을 것으로 시사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KB투자증권 문정희 연구원은 "11월 금리 동결은 대선을 앞두고 정치 불확실성이 시장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해 연준의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12월 금리인상 확률은 68%로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