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있다"…수면 아래 잠룡들
독자 행보를 시작한 주요 잠룡들 외에도, 여야엔 아직 대선 출마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잠룡군이 남아있다. 새누리당에선 친박 중진 정우택 의원과 비박 중진 나경원 의원이 나란히 거론된다.
정 의원은 지난달 사실상 자신의 싱크탱크인 '더좋은나라 전략연구소'를 열고 대선 행보에 나선 상황이다. 그는 최근 사실상 대권 행보에 나선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남경필 경기지사 등 일부 광역단체장들을 "대통령 병에 걸렸다"고 비판하며 날을 세웠다.
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거취에 관해 "대통령께서 용단을 내리셔야 한다"며 경질을 촉구하고,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전말이 드러나자 "철저한 검찰 수사는 물론 필요하다면 특검을 통해서라도 낱낱이 밝히고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사안 곳곳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나 의원도 지난달 한 TV프로그램에서 "대선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언급, 사실상 당내 대선후보 경선 출마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그간 새누리당 내부에서 여성 대권 도전자로는 나 의원이 유력한 인물로 꼽혀왔다.
그는 새누리당이 '김재수 장관 해임안' 사태로 국감을 보이콧하자 국감 중단을 요구했었고, 최근에는 내년 대선 전까지 권력구조를 분리하는 방식의 개헌을 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는 등 역시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 부각에 주력 중이다.
반면 내년 대선 출마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던 정몽준 전 새누리당 대표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에 도전했다가 박원순 시장에게 패한 뒤 뚜렷한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정 전 대표 측근은 최근 뉴시스와 통화에서 "정 전 대표가 정치 쪽엔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 해외 방문이나 대학 강연 등 다른 정치인들이 즐겨 하는 일정도 계획하지 않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거대 보수당 대표를 지낸데다 한때 대통령을 꿈꾸기도 했었던 만큼, 내년 대선 국면에서 정치권이 어떤 방식으로 변하느냐에 따라 정 전 대표가 나설 가능성도 아직 완전히 배제할 순 없는 상황이다.
야권에선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 의원은 아직 본격적으로 대권행을 시사하지 않고 최대한 관련 언급을 자제하고 있지만, 지난 8월 12박13일 간 북방외교·경제 연구차 시베리아 횡단에 나서는 등 외교안보 분야에서 주도권 선점에 나선 모양새다.
그는 또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불평등 사회경제 조사연구 포럼(불사조포럼)'을 창립, 소득·자산불평등 해소와 중산층 복원 의제화에 나서는 등 경제콘텐츠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달 국감에선 과세불평등 문제를 지적하는 등 자산격차 해소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천정배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역시 자신의 싱크탱크격인 자구구국 포럼을 결성하고, 호남에서 대선 주자가 나와야 한다는 '호남대망론'을 내걸어 사실상의 대선 행보를 시작한 상황이다. 천 전 대표는 포럼을 통해 상생, 노동, 동아시아 정세, 산업구조 개편, 정치개혁 등을 차례로 다루며 대선 로드맵 구상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