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朴대통령 우병우 경질 거부에 대응책 고심

2016-07-22     박대로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각종 의혹에 휘말린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을 경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야당은 우 수석 경질을 이끌어내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우선 야당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입법에 고삐를 죌 방침이다. 공수처 도입이 가시화될수록 검찰의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가 깨질 가능성이 커지고 이 경우 검찰의 위기감이 고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검찰이 조직보위를 위해 우 수석을 향해 칼을 겨눌 수 있다는 게 야권의 설명이다.

야당의 한 관계자는 "특권을 누리고 있는 검찰은 공수처 도입에 관한 여론이 강화될수록 특권 문제를 회피하려고 수사에 드라이브를 걸어왔다"며 "정권의 압박이나 우병우의 존재에 대한 부담이 있어도 검찰은 나름의 생존전략을 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운영위원회에서 대통령비서실에 대한 질의를 개최해 우 수석을 출석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출석한 우 수석을 상대로 직접 의혹을 해명하라고 추궁함으로써 우 수석의 자진사퇴를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야권 자체적으로 우 수석 관련 의혹을 제기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장정숙 국민의당 의원은 22일 당 비대위에서 "본 의원실로 우 수석 관련 제보가 들어온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때 온 국민이 불안과 공포에 떨 때 일부 공직자가 메르스 안전지대인 외국으로 피신했다는 것이 밝혀졌다"며 "우 수석은 메르스 사태 때 자녀가 어디 있었는지, 외국에 나갔다면 무슨 이유로 나갔는지 밝혀 달라"고 말했다.

다만 야당 일각에선 청와대가 이미 우 수석 경질을 전제로 대안을 마련하고 있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이 불거진 당시에도 청와대가 의혹 제기 직후에는 경질하지 않았다가 이후 결국 추후 경질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우 수석이 윤 전 대변인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게 일각의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