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육감 "교육감 선거방식 공동등록제 찬성"

2011-10-25     박세웅 기자

 

최근 교육감 선거제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기용 충북도교육감이 시도지사-교육감 '공동등록제'에 찬성입장을 밝혔다.

이 교육감은 25일 오전 도교육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교육의 자주성과 교권확립을 훼손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민직선제를 전제로 앞으로 선거방식은 시도지사와 교육감이 정책적 연대를 할 수 있는 공동등록제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이 제도는 초중고 교원들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충족하면서 무상급식 등 지자체와의 유대관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며 "모든 면에서 만족할 수 없지만 현재 거론되고 있는 교육감 선거방법 중에서 가장 교육발전에 적합한 제도"라고 덧붙였다.

이 교육감은 현행 선거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과다한 선거비용 ▲후보자 난립과 혼탁선거 ▲주민 무관심과 대표성 문제 ▲정당 및 이익단체의 개입과 교육정치화 현상 ▲포퓰리즘 선거 ▲지자체장과의 갈등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 교육감은 보수 교육감으로서의 입장이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지만 다만 일부 교육감이 현행 제도를 찬성한다고 밝힌 바가 있기 때문에 도민들에게 정확한 (저의)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말하게 됐다"며 "이처럼 교육감간 입장차이가 드러나며 다음 교육감 회의에서는 공론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또 2016년 전국체전 충주 단독유치와 관련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교육감은 "체육시설 조성 준비가 됐다는 이유로 도에서 충주 단독유치를 결정했지만 충주 단독개최보다는 분산개최가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또 청주·청원을 중심으로 분산개최가 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또 "올해 경기도에서 열린 전국체전도 도내 20곳으로 나눠져 열린 바 있다"며 "충북도 체육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체육영재 육성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청주·청원을 중심으로 분산개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교육감은 또 충주 단독 개최 결정과 관련해 도교육청이 소외된 부분이 있다며 앞으로 의견수렴 과정 등을 거칠 기회가 있다면 청주·청원을 중심으로 한 분산개최를 주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