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위험관리 국제거버넌스 필요”
남 지사,판교 경기창조혁신센터서 빅포럼 개막
남경필 지사 기조연설 통해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개인정보 침해 위 험 관리할 수 있는 국제적 거버넌스 기구 창설 제안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국제적 거버넌스 기구 창설을 제안하며 이 문제에 대해 경기도가 앞장서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빅데이터 분야의 이니셔티브를 확고히 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3일 오전 10시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15 빅포럼에서 빅브라더의 공포를 없애자 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통해 “빅데이터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우려와 공포를 없애야 한다.
원자력을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거버넌스를 통해 관리하고 있듯이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도 있는 빅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자력은 인류를 멸망시킬 수도 있는 위험한 물질이지만 값싼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피하다. 국제사회는 이런 원자력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IAEA를 만들어 핵을 관리하고 있다. 빅데이터도 거버넌스를 통해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남 지사의 주장이다.
남 지사는 이어 “구글이나 아마존, 페이스북과 같은 오픈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우리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불어 일으켰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데이터를 독점하고 마음대로 사용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면서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이나 정부권력자들이 부당한 목적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도록 전 세계가 공감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 지사는 이날 빅데이터와 관련된 경기도의 구체적 계획도 밝혔다. 남 지사는 “경기도가 갖고 있는 1,008종의 공공데이터와 민간의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미 국내 거대통신사인 KT로부터 통신데이터를, 국내 최대 신용카드사인 신한카드로부터 신용거래 데이터를 제공받기로 합의했다.”며 “경기도가 무료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구나 창의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빅데이터 오픈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 지사는 도가 보유한 공공데이터와 통신정보, 신용거래정보 등 민간의 빅데이터를 현재의 법 제도 규정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을 만들어 내년 2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플랫폼은 개방하지만 데이터는 독점하고 있는 구글과 달리 경기도는 플랫폼과 데이터 모두를 개방하는 오픈 플랫폼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남 지사는 오픈 플랫폼과 함께 빅데이터 실험을 위한 랩(Lab) 신설 방안도 밝히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