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역버스 입석금지 대책마련 총력
기초단체들, 전세버스 투입 도비지원 중단 혼선
경기지역 기초단체들이 광역버스 좌석제(입석금지)와 관련 전세버스 투입에 따른 도비 지원이 끊어지자 올 하반기 대책마련에 골똘하고 있다.
도비 지원이 중단되면서 전세버스 투입이 어렵고, 전면적인 입석금지도 불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16일 경기도와 일선 시 등 따르면 지난 해 세월호 사건 이후인 7월16일 광역버스 좌석제를 추진하면서 출 퇴근 때 전세버스 투입에 따른 보조금은 도비 50%, 시비 50%로 부담됐다.
도는 올 들어 전세버스 투입과 관련한 보조금의 경우 도비는 30%만 지원했고, 나머지는 일선 기초단체가 시비로 70%를 부담하도록 했다.
도는 지난 6월27일 경기도 버스요금을 전면 인상한 뒤 같은 달 30일부터 전세버스 보조금 가운데 도비 지원을 중단했다. 이 때문에 전세버스를 투입해 왔던 일선 시에서는 혼선이 빚어졌다.
대용량 버스 확보에 따른 시간의 부재, 출 퇴근 전세버스 투입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 부재, 서울시 진입 광역버스 증차 불가 등 사전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도비 지원부터 중단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시는 투입해 왔던 전세버스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버스업체를 통해 대용량 버스를 확보하도록 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교통여건에 맞게 지하철 환승을 위한 마을버스 확대와 버스노선 개편 등도 꾀하고 있다.
수원시는 올 상반기 예산 31억 원(도·시비 3:7)을 들여 서울진입 3000번 등 10개 광역버스 노선에 전세버스 100대를 투입했다.
도비 지원이 중단되자 수원시는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A업체로부터 7월1일부터 이달 말까지 자발적으로 전세버스 20대를 투입, 운행하도록 했다. B업체는 기존 41석짜리 버스에서 49석짜리 대용량 버스 24대를 확보해 운행하도록 했다.
상반기 광역버스 9001번 등 5개 노선에 전세버스 15대를 투입해 왔던 성남시는 6월30일 도비 지원이 중단되자 지난 달부터 전세버스를 10대로 줄여 다음 달까지 버스업체가 자체적으로 운행한 뒤 모두 노선에서 빼기로 했다.
시는 단기적으로 전세버스 운행이 입석금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광역버스 노선 개편, 마을버스 확대를 통한 지하철 환승 활성화, 대용량 버스 확보 등을 추진, 입석금지 해법을 찾는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해 하반기 전세버스 투입에 22억 원을 쏟았던 용인시는 올 상반기 광역버스 5001번 등 36개 노선에 전세버스 60대를 투입해 오다가 도비 지원이 중단되자 올 하반기에 추경예산을 확보해 전세버스를 투입하는 것과 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대용량버스 확보하는 방안을 동시에 고민하고 있다.
용인시는 C업체와 협의를 통해 광역버스 5600번 등 5개 노선에는 좌석 41석짜리 버스를 49석짜리 신차로 32대를 교체하고, 기존 39석짜리는 45석짜리 버스로 좌석을 늘리는 것 등 대용량버스를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D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처음부터 세월호에 관심이 집중되자 '눈 가리고 아웅'식으로 추진한 게 문제"라며 "입석금지 문제는 단기적인 증차로 풀 수 없다. 서울시와 협의가 되지 않는데 어떻게 증차문제를 푸느냐"면서 "노선 통·폐합, 환승거점형 노선 조정 등 더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
E시 관계자는 "경기도가 지난해 하반기에 버스요금을 인상한다고 했는데 시기가 늦어져서 지난 6월에 거의 동시에 요금이 인상되고 전세버스 보조금이 삭감됐다"며 "전세버스를 대거 투입하다가 도비 지원을 중단한다고 하니까 다른 방안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