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품 수수 협의 박기춘 의원 검찰 조사
새정치민주연합 박기춘 의원이 29일 오전 아파트 분양 대행 업체로부터 불법 금품 수수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중앙지검으로 출석,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정원 해킹팀 5명 실무책임 임과장"
새누리"해킹프로그램 구매 건의한 사람 임 과장"
새누리당은 29일 국정원 해킹팀이 5명이고 실무책임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임모(45)과장이라고 밝혔다 .
국정원 출신으로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를 맡고있는 이철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 해킹팀이랑 그 사람들은 기술개발연구단"이라며 "기술개발연구단은 보통 한 팀에 4~5명으로 이뤄져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팀의 경우도 임모 과장이 다른 팀으로 옮기기 전에 그 팀의 팀원 중 한 사람이었다"며 "임 과장과 같은 사람들이 한 4명 정도 더 있었고 그 위에 과장급 되는 팀장이 있었다. 그렇게 5명으로 팀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에 문제가 된 해킹 프로그램은 임 과장이 주도적으로 도입하자고 해서 했고, 운영도 임 과장이 직접적으로 운영을 다 했고, 그 옆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면서 그 일에 관해서는 연구원들이니까 이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새롭게 뭘 쓸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일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질적 타겟을 정하고 일할 때는 임 과장이 대부분을 다했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숨진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입을 주도했고, 운영 역시 임 과장이 했을 뿐, 다른 팀원들은 해킹 실무 내용에 대해선 자세히 몰랐다는 설명인 셈.
더 나아가 임 과장이 해킹 내용을 삭제한 데 대해서도 "누구에게나 삭제 권한은 없다"며 "공식적으로 인정된 내부 자료는 5년간 보관을 해야한다. 국장이 아니라 국정원장도 삭제권한이 없다. 국정원도 삭제사실을 유서를 보고서야 알았다"고 모든 책임을 임 과장에게 돌렸다.
그동안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숨진 임 과장이 "단순 기술자"라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27일 국정원은 정보위 현안보고에서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매, 운영 등 모든 실무 책임자라고 입장을 바꿔, 야당이 말바꾸기 의혹을 제기하는 등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