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이 선호하는 직업?…1위 교사·2위 공무원
우리나라 고등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과 학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자녀 직업은 교사, 공무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의뢰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된 고등학교의 학생·학부모 400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 12월 두 달간 조사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교사가 11.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공무원 4.2%, 경찰관 4.1%, 간호사 3.9%, 회사원 3.6% 등의 순이었다.
학부모가 선호하는 자녀 직업의 경우 공무원이 17.8%, 교사 16.9%로 가장 높아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3위는 의사 6.8%로 학생들이 선택한 3.2%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학생의 진로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가 4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TV 등 언론 20.7%, 진로진학상담교사 11.3%, 친구 11.0%, 사회적 명사 10.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고려하는 요인은 '소질과 적성' 57.1%, '학업성적' 29%, '높은 소득' 6.7%, '부모님 희망' 4.2% 등의 순이었다.
학부모가 자녀의 진로 방향 설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1위는 학생과 마찬가지로 '소질과 적성' 으로 응답비율이 62.8%에 달해 가장 높았으나 2위는 '미래 전망' 21.8%, 3위 '사회적 인정' 8.4%, 4위 '높은 소득' 5.1% 등으로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학교에서 학생이 희망하는 진로교육 활동은 직업체험, 진학상담, 적성검사, 진로상담 순이었으며 진로고민에 가장 큰 도움을 준 활동은 적성검사, 진로상담,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필요' 37.5%, '필요' 46.1%로 답했으며 그 활동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 15.1%, '만족' 48.1%인 것으로 집계됐다.
학생들이 진로진학상담교사로부터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분야는 '학과나 전공 정보' 30.6%, '나의 적성 발견' 28.1%, '입시정보' 19.3%, '직업정보' 14.4%, '학습정보' 6.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학부모가 진로진학상담교사로부터 받고 싶은 상담은 '자녀의 소질과 적성 발견' 47.1%, '대학 및 전공 정보' 30.4%, '직업정보' 10% 순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직업 인지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사회적으로 평판 있는 직업만 알고 있다' 32.2%, '100개 정도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23.9%, '1000개 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22.4% 순으로 나타나 직업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학생, 학부모를 위한 맞춤형 진로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확대 및 역량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