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 수영장 적자운영 심각
- 서울시교육청은 방치, 서초구청은 비협조로 일관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강성언 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강북4)은 지난 3월 5일 제258회 임시회에서 서울시교육청 직속기관을 대상으로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의 수영장 운영과 관련하여 문제제기를 하고 개선방안을 촉구하였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248(방배 3동 630)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은 ‘교직원의 전문역량 강화’에 연수 운영의 목표를 두고 있으나, 수영장 이용자 현황을 살펴보면 실제 교직원들의 이용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한 채 매년 운영비 및 시설 유지보수비로 약 2억 2천~2억 9천만원의 손실을 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손실이 발생한 주된 요인은 수영장의 실질 이용자의 90%가 서초구 지역주민임에도 불구하고 서초구청이 공공요금 등 운영비 지원 및 셔틀버스 운영 지원 등의 협의에 소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기 때문으로 매년 수영장 운영 손실액이 누적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마땅한 대책은 마련되고 있지 않아 서울시교육청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다.
<서울시교육연수원 수영장 이용자 및 수입․지출 현황>
수영장 이용자 현황
년도 | 교원 연수 (명)① | 학생(명)② | 지역주민(명) | 합계(명) | |||||||
계 | 정기 | 자유 | 단체 | 계 | 정기 | 자유 | 계 | 교원․학생 ①+② | 지역주민 | ||
2012 | 0 | 28,177 | 11,363 | 2,927 | 13,887 | 99,015 | 86,971 | 12,044 | 127,192 | 28,177 (22%) | 99,015 (78%) |
2013 | 276 | 25,512 | 11,514 | 2,480 | 11,518 | 105,326 | 92,378 | 12,948 | 131,114 | 25,788 (19.6%) | 105,326 (80.4%) |
2014 | 42 | 9,484 | 4,186 | 4,345 | 953 | 56,639 | 50,027 | 6,612 | 66,165 | 9,526 (14.4%) | 56,639 (85.6%) |
수영장 수입 ․ 지출 현황
년도 | 수입액 | 지출액 | 차 액 (손실액) | 비고 | ||||
계 | 인건비 | 공공요금 | 셔틀버스 | 시설․물품 | ||||
2012 | 375,894 | 600,189 | 278,395 | 223,359 | 52,614 | 45,821 | -224,295 | |
2013 | 363,449 | 599,433 | 299,050 | 217,581 | 48,054 | 34,748 | -235,984 | |
2014 | 109,395 | 400,567 | 230,711 | 117,206 | 18,322 | 34,328 | -291,172 | *휴장 (5.19〜11.9) |
※ 수입금 부가세 미포함(연수원 실제 수입)
결과적으로 서울시교육청이 열악한 재정상황 속에서도 교육재정으로 상대적으로 재정여건이 나은 서초구민을 지원하고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강성언 부위원장은 수영장 시설의 수입·지출 현황을 꼼꼼히 검토하면서 “서울시교육연수원의 설립 및 운영 취지와 목표에도 잘 맞지 않는 시설을 유지, 운영하는데 매년 3억에 가까운 예산이 낭비되는 상황을 안일하게 방치하는 것은 참으로 심각한 문제” 라고 지적하면서,
“손실액 보전을 위해 서울시교육청과 서초구청간에 운영비 전반에 대한 조속한 협의가 필요하며, 교육연수원의 설립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