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부재 드러낸 박원순 시장 '서울역고가 공원' 프로젝트
소통 부족도 문제…박 시장 "내 실수 인정, 소통 더 하겠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29일 서울역 고가에 17개의 보행로를 신설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프로젝트 실행 방안을 밝히면서 '서울역 고가 공원화' 논란은 앞으로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시 안팎에서는 박 시장이 해당 사업 추진을 위해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최창식 중구청장과 남대문 시장 인근 상인들과의 소통에 소홀했던 게 공원화 프로젝트 실행을 어렵게 만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은 박 시장의 최대 장점인 '소통전문가' 이미지 또한 퇴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 시장이 이날 발표한 '서울역 7017 프로젝트'의 가장 큰 문제는 실행 방안은 있지만, 동서를 이었던 길이 끊어진 후 발생할 수 있는 교통체증 문제나 노숙인 대책 등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당위성만 있을 뿐, 그 지역을 공원으로 만들기 위해 시민들을 어떻게 설득해왔는지, 반대하는 이들이 우려하는 부분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었다.
이에 대해 최 구청장은 "소통을 잘해야 하는데 이번 서울역 고가 공원화도 지역 주민들과 교감 없이 뉴욕에서 발표를 하니까 설득력이 뚝 떨어졌다"며 "일부 주민들이 뜻을 받아들였다고는 하는데 내가 알기로는 아주 일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그동안 남대문 인근 상인들의 반대가 극심해지면서 서울연구원이 지난 12일 열려고 했던 서울역 고가도로 활용 토론회는 "교통 대책부터 마련하라"는 인근 주민들의 거센 항의가 이어지면서 무기한 연기됐다.
남대문상인 측은 "박 시장은 고가공원이 남대문시장 상권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하지만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시장 방문객이 줄고 유통에 큰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고가를 공원화해서 도로가 끊기게 되면 퇴계로와 중림동 간의 이동시간이 30분 이상 늘어나게 된다"면서 "교통체증으로 인해 남대문시장과 중림동은 도심 속의 섬이 되고 중구·용산구·마포구 전반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 시장이 이날 계획안에서 소통을 늘리겠다고 한 것도 이런 분위기를 감안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민위원회, 고가산책단 등을 운영하고 월 1회 주기적인 여론수렴을 하는 등 시민들의 의견을 더 많이 듣겠다고 밝힌 것이다.
그는 "구청장 등 반대하는 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이 정책 자체에 대한 반대라기보다는 소통의 부족을 지적하는 얘기가 많았다"며 "이는 분명한 내 실수고 사과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남대문시장 상인을 포함해 인근 주민들의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다른 의견을 끝까지 경청하고 앞으로 소통하는 기회를 늘려 해결책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박 시장은 지난 선거를 통해 서울시민들로부터 재신임을 받지 않았느냐"며 "그러나 이번 정책의 추진 과정을 보면 박원순 2기 체제로 들어서면서 박 시장이 스스로 독단과 독선에 빠진 것은 아닌가 생각해보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