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새해 벽두부터 '비선실세·MB' 놓고 충돌 예고
지난 29일 '부동산 3법'을 포함해 148건의 법안을 처리하며 올 국회 주요 일정을 마무리한 여야는 새해 벽두부터도 쉴틈없는 빠듯한 일정 속에 정국 주도권 경쟁을 치열하게 벌일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우선 오는 9일 예정된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에 대한 운영위를 앞두고 있어 정국 험로가 예상된다.
여야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재만 비서관을 부르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이른바 '문고리 권력 3인방'으로 지목된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 등을 놓고 대치하고 있는 상태다.
비선실세 의혹이 현 정권을 둘러싼 민감한 이슈인데다 연초 정국의 주도권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여야의 첨예한 대립이 불가피해 보인다.
여야는 또 연초부터 해외자원개발(자원외교) 국정조사와 공무원 연금 개혁안을 놓고 격돌할 전망이다.
우선 자원외교 국정조사 대상 시기는 이명박 정부만을 한정하지 않고 모든 정부를 대상으로 하기로 했다.
그러나 야당은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을 중점적으로 파헤치겠다며 날선 공세를 예고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철통방어에 나설 것으로 보여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지난 30일 본회의에서 의결된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도 최장 125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여당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공무원연금 개혁의 특위 위원장(새누리당 몫)은 우여곡절 끝에 주호영 정책위의장이 맡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또 조원진·강석훈·강은희·김도읍·김현숙·이종훈 의원 등을 위원으로 내정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3선의 강기정 의원을 특위 간사로 정한 것 외엔 아직 위원 인선을 마무리 하지 못한 상태다.
여야는 또 1월 12일 예정된 본회의를 앞두고 또다시 치열한 입법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여당은 '서비스발전기본법' 처리를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야당은 '의료영리화법'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또 국정원장 산하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설치하는 내용의 '사이버테러방지법' 처리를 놓고서도 여야는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