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 이번에도 연합뉴스 출신?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 선임 놓고 비판 거세

2014-12-10     특별취재팀

국가 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의 감독기구이자 최대주주인 뉴스통신진흥회 이사회의 개편 시한이 오는 22일로 다가오면서 이사장과 이사 선임을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정부 들어 인사의 투명성과 적절성이 끊임없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이번 진흥회 인사 역시 이런 저런 말들과 반발이 나오고 있어 언론계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에도 골수 연합뉴스 출신 인사를 이사장으로 앉히려는 시도에 대해 강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를 감독해야 할 진흥회의 이사장에 연합뉴스 사람을 앉혀놓고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다.

끼리끼리 봐주고 덮어주면서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한통속이 되는 바람에 국가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는 언론계의 ‘공적’처럼 돼 버렸다는 지적인 것이다. 이번에도 연합뉴스 출신인 L씨와 S씨 등이 청와대 추천으로 이사장으로 유력하다는 이야기가 퍼지면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연합뉴스의 최대주주로서 연합뉴스에 대해 사장 추천권과 예산-결산 승인권 및 경영 감독권을 갖고 있어 연합뉴스를 실질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권한과 책무를 부여받고 있다. 진흥회 이사회의 이사는 7명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이중 3명은 국회 추천으로, 2명은 신문협회와 방송협회 추천을 받아야 한다.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는 2명 중 1명이 대개 이사장을 맡으며, 이사장만 상근이고 나머지 6명은 비상근이다.

뉴스통신진흥회가 가장 비판받는 대목은 법적으로 부여된 연합뉴스에 대한 감독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연합뉴스는 정부로부터 매년 구독료 명분으로 349억원의 세금 지원을 받고 있으며, 여기에다 뉴스 앱 개발과 같은 명분으로 수십억원을 추가로 챙기고 있다.

그러면서도 연합뉴스는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와 KTX 등에 기사를 팔아 연간 100억원 가까운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가기간통신이라는 이름으로 국민 세금의 지원을 받으면서, 한편으로는 국민 세금으로 무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무차별적인 영리활동으로 언론 시장을 교란시키고 황폐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연합뉴스의 이런 횡포로 인해 많은 신문사들이 연합뉴스와의 기사 수급 계약을 파기한 상태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연합뉴스의 이런 행태에 전혀 제동을 걸지 못하고 있다. 공익과 사익을 닥치는대로 챙기면서 언론 생태계의 공룡처럼 되고 있는 연합뉴스에 대해 공공성을 바탕으로 관리 감독권을 행사해야 할 진흥회는 오히려 연합뉴스의 바람막이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형국이다.

연합뉴스의 방만한 경영상태는 언론계 공지의 사실이 됐지만 경영 감독권을 갖고 있는 진흥회는 수수방관이다. 진흥회의 이사장이 골수 연합뉴스 출신이다 보니 일란성 쌍둥이처럼 된다는 것이다.

사정이 이러다 보니 이번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은 연합뉴스와 적절한 거리를 두면서 통신뿐 아니라 언론 전반에 대한 해박한 전문성과 객관적 위상을 가진 인사가 맡아야 한다는 요구가 언론계내에서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언론학 전공의 한 교수는 "연합뉴스에 대한 감독권이 지금처럼 유명무실해진다면 국가기간통신이 언론이나 국민과 점점 멀어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휘말릴 수 있다"며 "국내 언론 생태계의 균형 발전을 위해 진흥회 이사장에 중립적 인물을 중용하고 연합뉴스의 정관도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뉴스통신진흥회가 연합뉴스의 대변자 역할에서 벗어나 기관 설치 근거법(뉴스통신진흥에관한법률)의 취지에 맞게 뉴스통신 전반의 발전을 위한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이사장부터 연합뉴스의 울타리를 벗어난 인물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