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청와대 압수수색 가능성 배제 안해...고강도 수사 예고
검찰은 3일 현 정권 비선 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 문건 유출과정 수사를 위해 문건 유출자로 지목된 박모(48) 경정의 자택 및 사무실 등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 하면서 사실상 이번 사건 수사의 첫 테이프를 끊었다.
특히 검찰은 “(수사는) 스텝바이스텝(단계별)으로 갈 것”이라며 "청와대에 대한 압수수색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앞으로 고강도 수사가 예상된다.
검찰은 현재 박 경정이 실제 문건 유출자인지 뿐만 아니라 정 씨와 이재만 총무비서관 등 이른바 청와대 실세 3인방 등이 서울 시내 한 중식당에 모여서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VIP측근(정윤회) 동향' 문건에 나온 내용대로 이야기를 주고 받았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가 이날 압수수색과 관련, “제일 중요한 건 당시 그 모임에서 그런 얘기가 오갔다는 걸 확인하는 건데 그건 단계별로 가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수사과정에서 문건의 진위 확인에 실제로 들어가다보면 그동안 폭로된 것처럼 정씨를 비롯한 현 정권 실세들 사이에서 얼마나 심각한 국정농단과 권력암투가 벌어졌는지 등 실상이 그대로 드러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검찰이 밝힌대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까지 압수수색 할 경우 박근혜 대통령을 둘러싼 측근들간의 암투는 더욱 적나라하게 밝혀질 것으로 관측된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청와대 뿐만 아니라 현재 흐름으로 본다면 정씨 등이 회합했다는 중식당도 압수수색 대상이 되지 않겠느냐”며 “이는 검찰 역시 권력암투의 전모를 파악하지 않고선 사건의 본질에 다가갈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다만 검찰이 권력암투설의 실체를 확인하더라도 이를 어떻게 다룰지는 정치적으로 판단할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 벌써부터 이번 사건의 경우 특별검사제를 통해 실체를 규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