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학부모들 "지정 취소, 교육감 권한 넘은 위법"
자사고학부모연합은 서울시교육청이 6개 자사고를 지정 취소한 것을 두고 "교육감의 권한을 넘어선 명백한 위법 행위"라며 철회를 촉구했다.
자사고학부모들은 3일 오전 서울 서대문독립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자사고 재지정 평가는 절차적으로 공정성을 잃었다"며 "시교육청은 교육부의 시정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달 31일 경희고, 배재고, 세화고, 우신고, 이대부속고, 중앙고 등 6개 자율형사립고를 지정취소했다.
이에 자사고학부모들은 "자사고 재평가의 평가 기준과 배점, 학교별 평가 결과 등에 대해 학교와 학부모는 알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는 자사고를 없애려는 자의적 속셈이 반영된 짜 맞추기식 기준이라는 점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라고도 지적했다.
김용복 배재고 교장(서울시 자사고교장협의회장)은 "자사고 지정 권한이 교육감에게 있다고 해서 학교장의 고유 권한인 학생선발권까지 뺏는 건 이율배반적인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만 자사고에 몰린다는 편견에 대해서도 "요즘 시대에 공부 잘하는 학생만 선발하는 건 가능하지도 않다. 해당 자사고의 건학 이념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려는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한 교장은 "일반고 황폐의 원인을 자사고에서 찾으면 안 된다. 특성화고를 늘리거나 입시 제도를 개선해 인문계에 입학하는 것보다 기술을 배우고 싶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는 게 맞다. 일반고의 환경을 개선할 방법은 자사고가 아닌 특성화고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덕고 2학년 아들을 둔 고경란(45)씨는 "일반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특성화고 등 다른 교육 제도에서도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 자사고가 가장 최근에 만들어져서 그만큼 금방 없애버리기도 쉬우니까 이렇게 지정 취소하려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하소연했다.
자사고 제도가 학생에게 박탈감을 줄 수 있는 문제도 분명 존재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집회를 지켜보던 황정자(72·여)씨는 "손자가 자사고 입시 실패 후 상처를 많이 받았다.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그런 실패의 경험은 많이 쓰라리다. 좋은 학생들만 선발해 우수한 환경을 만들자는 자사고 취지엔 찬성하지만 그래도 성적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더 존중할 수 있는 선발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토로했다.
한편 자사고학부모들은 이날 집회를 마치고 시교육청까지 도보 행진을 했다. 이들의 도보 행렬 질서 유지와 교통 통제를 위해 경찰 240여명이 투입됐다.
이날 집회에는 자사고 지정 취소 6개 학교를 비롯해 서울 시내 26개 자사고의 학부모 1200여명(주최측 추산)이 참석했다.